반지하로 내려간 '기생충' 가족..소득탄력성이 좀 더 낮았다면 어땠을까

나수지 입력 2020. 4. 13. 09:04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영화로 읽는 경제학
시네마노믹스 (1) 기생충 (上)


칸영화제, 골든글로브에 이어 아카데미까지 휩쓴 영화 ‘기생충’. 봉준호 감독은 기생충이 개봉한 지난해 5월 “오만 가지 생각이 다 드는 영화였으면 좋겠다”고 했다. ‘오만 가지 생각’ 가운데 경제학의 관점으로 기생충에 접근한다면 어떨까. 주인공 가족의 가난은 영화의 설정일 뿐이지만 경제학의 돋보기를 들이대면 맥락이 보인다.

기우 가족은 어쩌다 가난해졌나

엄마 아빠 아들 딸. 가족 넷은 이렇다 할 벌이가 없다. 반지하에 살면서 피자 상자를 접어 소일하는 게 전부다. ‘기생충’에 등장하는 주인공 가족은 ‘반지하 인생’을 산다. 평균보다는 조금 낮은 곳, 하지만 창밖으로 들어오는 빛을 보며 계단을 오르는 날을 꿈꾸는 삶이다.

주인공 가족에게 계층 이동의 기회는 별안간 찾아왔다. 첫째 아들 기우(최우식 분)의 명문대생 친구 민혁(박서준 분)이 자신이 하던 고액과외를 맡아달라고 부탁하면서다. 글로벌 정보기술(IT) 기업 최고경영자(CEO)인 박 사장(이선균 분)의 딸을 가르치게 된 기우는 한 계단씩 꿈에 가까워진다. 동생부터 부모님까지 차례로 박 사장 집에 취직시키며 소득을 늘린다. 그렇게 기우 가족은 박 사장 가족과 점점 비슷해지는 것 같았다. 기괴한 사건이 벌어지기 전까지는….

기우 가족이 처음부터 가난했던 건 아니다. 기우는 대입 4수생이지만 영어만큼은 문제없이 과외를 할 정도다. 여동생 기정(박소담 분)은 미대 진학을 꿈꾸는 재수생이다. 아마도 남매는 어릴 때부터 영어와 미술 교육을 받았을 것이다. 처음부터 반지하에 살았다면 가능하지 않을 법한 일들이다. 가세가 기울기 시작한 건 아버지인 기택(송강호 분)의 대만 카스텔라 가게가 쫄딱 망하면서다. 기택은 사업 실패 후 치킨집, 대리주차, 대리운전까지 다양한 직업을 전전하다 백수 생활에 정착한다.

기택의 대만 카스텔라 가게는 반짝 유행을 타다 실패한 가맹점 사업의 전형이다. 대만 카스텔라 이전엔 벌집 아이스크림이 있었고, 최근엔 핫도그와 흑당 버블티 열풍으로 되풀이되고 있다. 유망한 ‘틈새’ 상품을 파는 가게가 인기를 모으면 여기에 편승하려는 사람이 급격히 늘어난다. 공정거래위원회에 따르면 대만 카스텔라가 한창 인기를 끌던 2016년 프랜차이즈 브랜드 종류만도 8개월 만에 4개에서 16개로 급증했다. 공급 과잉은 과당경쟁으로 이어진다. 순식간에 늘어난 비슷한 가게들에 실망한 소비자가 어느 날 발길을 끊으면 그걸로 가게도 끝이다. 제대로 된 분석 없이 앞다퉈 뛰어든 가맹점 사업의 최후다.

비극으로 흘러가는 ‘비이성적 계획’

투자의 세계에서도 비슷한 일이 일어난다. 2013년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인 로버트 실러 미국 예일대 교수는 이를 ‘비이성적 과열’이라고 표현한다. 실러 교수는 인간을 합리적인 경제인으로 가정하지 않는다. 주식시장이나 부동산시장의 이상 가격급등 현상을 보면서도 거품을 키우는 게 인간이라고 본다. ‘나는 거품이 꺼지기 전에 나올 수 있다’거나 ‘집값은 절대 내려가지 않을 것’이라는 비이성적 판단 때문이다. 2017년 말 비트코인 등 가상화폐 가격이 폭등할 때도 실러 교수는 ‘빨리 많은 돈을 벌 수 있다’는 환상이 만들어낸 비이성적 과열이라고 꼬집었다.

기택은 명문대 재학증명서를 위조해 과외를 구하러 가는 기우를 보며 말한다. “너는 계획이 다 있구나.” 기우의 계획은 학력 위조로 돈을 벌겠다는 ‘비이성적 계획’이다. 대만 카스텔라 가게를 차렸던 시절엔 기택에게도 계획이 있었을 것이다. 대만 카스텔라 가게 앞에 늘어선 줄이 영원할 것이란 비이성적 판단을 기초로 헛된 계획을 세웠을지도 모른다. 기택과 기우 부자가 세운 ‘비이성적 계획’은 비극이 돼 아래로 흘러내린다.

‘반지하 가족’은 계단을 오를 수 있을까

반지하로 떨어진 기우 가족은 끊임없이 계층 이동을 꿈꾼다. 계층 이동을 시도하는 과정에서 예기치 못한 ‘약자’끼리의 갈등이 빚어지고 한 계단 올라갔다는 착각도 잠시, 다시 계단을 내려와야 하는 냉혹한 현실 등 다양한 영화적 설정이 등장한다. 경제학에서 한 사회의 계층 이동이 얼마나 활발한지를 알아볼 때 사용하는 지표 중 하나가 ‘세대 간 소득 탄력성’이다. 부모와 자녀의 소득이 얼마나 비슷하게 움직이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다. 1에 가까울수록 소득이 대물림되는 경향이 강하고 0에 가까울수록 부모의 소득이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이 작다.

한국의 세대 간 소득탄력성은 다른 나라와 비교했을 때 낮은 편이다. 계층 이동이 상대적으로 활발하다는 뜻이다. 2017년 이진영 한국경제연구원 부연구위원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한국의 세대 간 소득탄력성은 0.29로 도출된다. 부모의 근로소득이 10% 늘면 자녀의 근로소득은 평균 2.9% 증가했다는 얘기다. 영국(0.50) 미국(0.47) 일본(0.34)보다 낮고 뉴질랜드(0.29) 스웨덴(0.27)과 비슷하다.

NIE 포인트

① 인간은 계획을 갖고 있는 ‘합리적인 경제인’으로 볼 수 있을까.
② 한국이 계층이동을 나타내는 소득탄력성이 낮은 이유는 무엇일까.
③ 일할 수 있는 기회의 확대가 계층이동을 활발히 할 수 있을까.

(다음회에 계속) 나수지 한국경제신문 기자 suji@hankyung.com

네이버에서 한국경제 뉴스를 받아보세요
한경닷컴 바로가기모바일한경 구독신청

ⓒ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