月100만원 벌면 빚갚는데 24만2천원

이상덕,최승진,정의현 2015. 12. 21. 17:28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가계금융·복지조사 소득 3% 늘때 원리금상환 부담은 15%↑국민 6명중 1명 빈곤층..연소득 1156만원은퇴가구 절반은 "노후준비 제대로 안돼"
우리나라 가구 소득은 늘었지만 부채 증가로 인해 원리금 상환 부담이 커지면서 살림살이는 더 팍팍해진 것으로 드러났다.

21일 통계청·금융감독원·한국은행이 전국 2만가구를 상대로 조사한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가계의 평균 소득은 4767만원으로 2013년 4658만원에 비해 2.3% 증가했다. 세금과 국민연금 등을 제외한 처분가능소득도 2013년 3819만원에서 2014년 3924만원으로 2.7% 늘어났다. 하지만 원리금 상환액은 830만원에서 952만원으로 무려 14.6% 급증했다.

원리금 상환 부담이 늘면서 가계에서 실제 처분 가능한 소득은 오히려 전년 대비 소폭 감소했다. 이에 따라 가구가 쓸 수 있는 돈에서 원금과 이자를 감당해야 하는 비중을 의미하는 처분가능소득 대비 원리금상환액 비율(DSR)은 24.2%로 전년보다 2.5%포인트 늘었다. 원금과 이자를 갚아야 하다 보니 소비에 쓸 돈이 갈수록 부족해지는 대목이다.

◆ 부동산 규제 완화로 빚 부담 늘어

통계청은 DSR가 늘어난 이유에 대해 "이자만 갚는 만기 일시상환 대출에서 원리금을 동시에 상환하는 비거치식 대출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원리금 상환 부담이 높아졌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보다 근본적인 원인은 부채의 절대 규모가 늘어나는 데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한국은행이 지난해부터 기준금리를 인하하고 주택담보대출비율(LTV) 총부채상환비율(DTI) 등 대출 규제를 완화하면서 주택담보대출 규모가 크게 늘어났다.

이에 따라 금융부채를 보유한 가구의 평균 금융부채는 7511만원으로 전년보다 7.9% 급증했다. 금융부채 증가율을 연령별로 살펴보면 30~50대에서는 40대가 8.7%로 가장 높았고 이어 30대 8.5%, 50대 3.9% 순이었다. 생활형 빚 부담이 많은 60세 이상은 11.4%였다.

더욱이 금융부채를 보유하고 있는 가구는 만기 일시상환 대출 비중이 여전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대출 가운데 만기 일시상환 대출 비중은 37.8%로 전년 대비 2%포인트 늘었다. 반면 원금 분할상환 비중은 13.5%로 2.2%포인트 줄었고, 원리금 균등분할상환 방식은 20.8%로 1%포인트 증가하는 데 그쳤다.

문제는 취약 계층의 빚 부담이 늘고 있는 데 있다. 60세 이상 고령자의 DSR는 23.8%로 전년보다 4.5%포인트 늘었다. 소득은 멈춰 있는 데 반해 빚이 큰 폭으로 늘어나면서 원리금 상환 부담만 가중되고 있는 것이다. 또 다른 취약계층으로 꼽히는 자영업자의 DSR는 전년보다 2.8%포인트 오른 30.6%로 껑충 뛰었다. 이는 상용근로자(21.5%)와 임시·일용근로자(17.2%)에 비해 현저히 높은 수준이다.

◆ 노후준비 8.8%만 "잘돼 있다"

우리나라 가구당 평균 자산은 3억4246만원으로 전년보다 2.1% 늘었다. 또 평균 부채는 6181만원으로 같은 기간 2.2% 증가했다. 자산 내역을 살펴보면 부동산 등 실물자산이 2억5159만원, 금융자산이 약 9087만원 수준이었다. 평균 소득은 4767만원으로 전년보다 2.3%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 원천별로 살펴보면 근로소득이 3128만원으로 전체 65.6%를 차지했고 이어 사업소득 1143만원(24.0%), 재산소득 189만원(4.0%) 등이었다.

부자와 빈자 간 격차는 전년과 비슷했다. 국민 6명 중 1명이 빈곤층인 것으로 파악됐다. 가구당 소득을 가구원 수로 계산한 균등화처분 가능소득인 빈곤선(중위소득 50%)은 연간 1156만원이었다. 빈곤선 미만 계층이 총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인 빈곤율은 전년과 같은 16.3%였다. 전체 순자산에서 순자산 상위 10%가 차지하는 비중은 43.2%로 전년에 비해 0.1%포인트 감소했다. 0에 근접할수록 완전평등, 1에 가까울수록 완전불평등을 가리키는 지니계수는 전년보다 0.002 하락한 0.592를 기록했다. 상위 20%는 평균 자산이 10억40만원이었고, 하위 20%는 2996만원이었다.

우리 국민은 노후에 대한 걱정이 컸다. 가구주가 예상하는 은퇴 연령은 66.2세지만 실제 은퇴 연령은 61.7세로 5년 가까이 차이가 났다. 아직 은퇴하지 않은 가구 중 노후 준비가 '잘돼 있지 않다' 등 부정적인 응답이 55.4%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 53.4%보다 2.0%포인트 늘어난 수준이다. 반면 '잘돼 있다'는 답변은 8.8%에 그쳤다.

[이상덕 기자 / 최승진 기자 / 정의현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