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병진의 밀리터리S] KF-X 레이더, 국내서 조기 개발할 수 있다고?

박병진 군사전문 입력 2015. 10. 5. 19:02 수정 2015. 10. 5. 23:33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방사청 "개발 일정 당겨 마무리".. 군 관계자 "논란 덮기 위한 꼼수"

방위사업청이 5일 미국 정부의 기술이전 거부로 논란이 불거진 능동위상배열(AESA) 레이더 등 한국형전투기(KF-X)의 4개 핵심기술을 국내 개발하겠다는 입장을 공식화했다.

차기 전투기(F-X) 기종으로 미 록히드마틴사의 F-35A를 구매하는 대가로 이전받기로 한 4개 핵심기술이 미 정부의 수출허가(E/L) 벽에 부딪혀 물거품이 되자 꺼낸 처방전이다.

방사청은 이날 언론사 부장단 정책설명회에 배포된 자료를 통해 “국내 기술 수준과 유사장비 개발 경험 등을 활용해 4개 장비의 국내 개발을 우선 추진하되 필요시 해외기술 협력을 하겠다”고 밝혔다.

KF-X에 장착될 AESA 레이더는 국내 개발 일정을 가속화하겠다고도 했다. 나머지 핵심기술은 적외선 탐색 및 추적장비(IRST), 전자광학 추적장비(EOTGP), 전자파 방해장비(RF Jammer)이다.

AESA 레이더의 국내 개발 가속화는 2020∼2024년으로 예정된 시험개발 2단계 일정을 2017∼2021년으로 앞당기는 데 방점이 찍혔다. 앞선 1단계 시험개발일정은 3년가량 줄어들었다.

방사청 관계자는 “미국이 이전을 거부한 AESA 레이더의 하드웨어는 국내 개발이 가능한 상태이며, 소프트웨어는 제3국 업체에서 알고리즘 등을 획득해 국내에서 소스 코드를 개발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경공격기 FA-50의 기계식 레이더 통합 경험으로 관련 기술의 90%는 이미 확보했다”고 부연했다. 방사청은 또 미국의 기술 이전 거부에도 KF-X 사업이 차질없이 진행되도록 다양한 방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이러한 주장은 손바닥으로 하늘을 가린 격이란 반응이 나온다. 군 관계자는 “10년을 들여도 될까 말까 한 사업을 5∼6년 만에 완성하겠다는 주장은 억지이고 불가능하다”고 평가절하했다. 최근 KF-X로 불거진 논란을 잠재우기 위한 ‘꼼수’라는 것이다.

정부 소식통은 “군이 요구한 2025년까지 KF-X 전력화를 맞추려면 록히드마틴의 전적인 지원 없이는 불가능하다”고 잘라 말했다.

그는 “K-2 차기 전차 ‘파워팩’ 엔진도 국산화를 자신했지만 결국 완제품을 수입하지 않았느냐”며 “하물며 소프트웨어가 중심인 첨단 레이더를 10년이 아닌 5∼6년 안에 개발하겠다는 것은 말이 안 된다”고 지적했다. 조기 개발을 못해 완제품 수입과정을 거치며 시간을 번 뒤 2차로 독자개발 제품을 장착하는 ‘짜깁기’ 형식이 유력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된다.

청와대의 진상조사 기간 중에 국방부 장관과 방사청장이 나서 악화된 KF-X 여론을 무마하기 위한 언론사 접촉도 논란거리다.

군 관계자는 “청와대가 F-X와 KF-X 사업 추진 과정에서의 문제점이 있다고 판단해 조사에 나선 마당에 어떻게 국방부가 언론을 상대로 분위기 조성에 나설 수 있는지 납득이 쉽지 않다”고 말했다.

만약 국방부가 이런 일을 주도했다면 청와대 조사를 아랑곳하지 않는다는 말이 되고, 청와대가 지시했다면 최고 국가기관이 자가당착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는 것이다.

이날 육군회관에서 열린 정책설명회에서 한민구 국방부 장관은 한 언론사 부장이 “설명을 들으니 문제가 없는데 그럼 왜 청와대가 진상조사에 나섰느냐”며 캐묻자 “아는 바 없다”고 답변했다. 장명진 방사청장도 마찬가지였다.

박병진 군사전문기자 worldpk@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