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밑 빠진' 자원외교, 내년에도 예산 1165억 쏟아부어야

2015. 9. 20. 20:1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겨레] 광물공사 6개 사업에 665억원 배정

암바토비 니켈광산 손실보전금에

운영사 대출금까지 1270억 갚아야

'수익 불투명' 석유공사에도 500억

부실투자 사례로 꼽히는 마다가스카르 암바토비 니켈광 개발 등 자원외교 사업의 유지를 위한 비용으로 1165억원이 내년 정부 예산에 책정된 것으로 나타났다. 암바토비 사업은 손실보전금 투입과 함께, 올해 12월부터는 운영사 셰릿사에 지급보증해준 대출금에 대한 대납 상환까지 해야 할 형편이어서 앞으로도 자원외교 뒤처리에 많은 돈이 추가로 쓰일 것으로 예상된다. ( ▶ 관련 기사 : 자원외교 성공 사례라더니…볼레오광산 사업성도 의문 )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김제남 의원(정의당)이 산업통상자원부에서 받은 2016년 예산안의 세부 내역을 보면, 에너지 및 자원사업 특별회계로 한국광물자원공사에 665억원, 한국석유공사에 500억원을 투입한다. 정부는 지난 10일 국무회의 의결을 거쳐 예산안을 확정했고, 국회 심의를 거쳐 내년 예산이 최종 확정된다.

광물자원공사는 암바토비 니켈광산, 파나마 코브레파나마 구리광산, 오스트레일리아 와이옹 유연탄 탄광 개발 등 이명박 정부 때부터 추진중인 6개 자원외교 사업에 내년에 3984억원의 기본 투자비가 필요하다고 보고 예산을 요구해 665억원을 배정받았다. 이들 사업의 실상을 보면 2011년 11월 시설이 완공된 암바토비의 경우 지속되는 손실로 이자 비용 및 운영비만 지급되고 있고, 와이옹 사업은 환경영향평가 승인이 나지 않아 사업 진행 여부가 불투명한데다 원주민과의 분쟁도 벌이고 있다. 지분 매각을 시도하고 있는 코브레파나마 사업은 2차례 유찰되는 등 투자금 회수에 난항을 겪고 있다.

암바토비 사업의 경우 영업손실로 인해 광물자원공사가 이미 2012년 2억7568만4680달러, 2013년 1억4877만5000달러, 지난해 1억1797만5000달러를 보전해줬다. 3년간 우리돈 6000억원가량 지급된 것이다. 하지만 매출액이 매출원가에 못 미치는 까닭에 당분간 현금 유입은 기대하기 어렵다. 올해도 9월 현재 5940만달러가 운영비로 투입된 상태다.

광물자원공사는 운영사인 캐나다 셰릿사의 대출금을 대납해야 할 처지에도 놓여 있어, 배정받은 예산으로 손실을 다 처리하기 쉽지 않아 보인다. 광물자원공사는 2009년 셰릿사가 유동성 위기에 처해 한국수출입은행에서 2억7540만달러를 대출받을 때 지급 보증을 서줬다. 이 돈의 상환 기간이 도래해, 셰릿이 이를 갚지 못할 경우 오는 12월20일 당장 4459만7000달러를 대신 갚아야 한다. 2016년에는 대납액이 1억1543만달러로 예상된다. 광물자원공사는 내년 암바토비 투자금으로 1270억원을 잡았는데, "셰릿론 대납금 1억1543만달러에 환율 1100원을 곱해 책정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공사가 2019년까지 대납해야 할 금액은 총 3억3848만달러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는데, 1100원의 환율을 적용할 경우 3723억원에 이르는 금액이다.

석유공사의 경우 내년 예산으로 500억원을 책정받았는데, 역시 이명박 정부 시절 시작된 아랍에미리트(UAE)와 이라크의 석유 탐사에 투입될 돈이다. 이라크 상가우사우스 탐사의 경우 당장 사업성 여부가 확정되지 않는 등 석유공사 사업 역시 수익성이 불투명하긴 마찬가지다.

지난 17일 검찰이 암바토비 사업을 경남기업으로부터 인수할 때 과도한 금액을 지급해 공사에 손해를 끼친 혐의 등으로 김신종 전 광물자원공사 사장을 기소하는 것으로 자원외교 수사는 사실상 마무리됐다. 하지만 투자 손실이 앞으로 얼마나 더 커질지 점치기 어려운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 김제남 의원은 "전망도 없고 팔지도 못하는 사업과 계속 적자만 나는 사업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비용이 막대하다. 정부는 부실 실태를 정확히 파악해 혈세를 낭비하지 말고 정리 절차를 개시해야 한다"고 말했다.

송경화 기자 freehwa@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단독] 세월호 선원들, '의문의 물체' 들고 나오는 영상 첫 확인천정배, 문재인 향해 "너나 잘해라~"청계재단, 'MB 채무' 탓에 설립 취소 위기…150억 빌딩 급매물로[포토] "카~ 탐난다"…프랑크푸르트 모터쇼 현장[포토] 김무성, 국민의례보다 전화가 '먼저'

공식 SNS [통하니][트위터][미투데이]| 구독신청 [한겨레신문][한겨레21]

Copyrights ⓒ 한겨레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겨레는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Copyright © 한겨레.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크롤링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