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후에라도 찾으려..' 고령 이산가족 유전자 보관

윤지연 2015. 8. 29. 22:0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멘트>

이미 고령인 이산가족분들, 안타깝게도 남은 시간이 얼마 없습니다.

그래서 후손들이라도 가족을 만날 수 있도록 유전자 정보를 남기는 분들이 많다고 합니다.

윤지연 기자입니다.

<리포트>

<녹취> "입 안에 잠깐 사탕처럼 물고 계시면 되세요."

12살 때 피난길에 올라 북녘의 혈육과 헤어진 조성삼 할아버지.

매번 상봉 신청이 좌절되자, 죽기 전에 자신의 유전자 정보라도 남겨둬야겠다는 마음을 먹었습니다.

<인터뷰> 조성삼(이산 가족) : "훗날에 내가 없더라도 형제간들은 만날 수 있는 거 아니에요. 그래서 해 놔야지."

북녘에 두고 온 어머니와 둘째 형님, 친지들에 대한 그리움을 부인과 자식들이라도 풀어줬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인터뷰> 조성삼(이산 가족) : "금강산도 가고 중국으로 해서 거기(백두산)도 가보고 다 했어요." ("금강산을 가서 잠을 안자더라고, 잠이 안 온대") ("왜 잠이 안 오셨어요?") "거기서 조금만 더 가면 고향이잖아. 개성지나서.."

<녹취> "혈액에서 시약 처리를 하고 나서 DNA를 분리해 내는 원심분리기 과정이에요."

채취한 혈액과 모발 등은 유전자 검사를 실시한 후 보관됩니다

이렇게 하면 이산가족 1세대가 숨진 뒤에도 북한이 협조만 하면 후손들이 부모의 가족을 찾을 수 있습니다.

<인터뷰> 황춘홍(유전자 연구소 대표) : "당장은 사용하지 않더라도 사후에 다른 가족들, 남아서 생존하고 있는 가족들이 혈연관계를 증명해서 왕래할 수 있다면 통일이 좀 더 빨라지지 않을까."

정부는 지난해 천 2백 명에 이어, 올해 안에 만 명의 유전자 정보를 채취해 보관할 예정입니다.

KBS 뉴스 윤지연입니다.

윤지연기자 (aeon@kbs.co.kr)

Copyright © K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