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저스도 방전' 4일 휴식 남발은 독?

입력 2015. 8. 29. 05:56 수정 2015. 8. 29. 05:59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OSEN=김태우 기자] 선발 5인 로테이션은 야구 역사의 경험 축적이 낳은 산물이다. 100년 넘게 여러 가지 방법을 써본 결과, 현재 허용되는 로스터 상황에서는 가장 합리적인 방안이라는 것이다. 그 이하의 선발 투수들로 시즌을 운영할 경우 투수들의 어깨가 남아나지 않는다는 계산도 깔려 있다. 6인 로테이션을 쓰는 팀은 있어도 4인 로테이션을 쓰는 팀은 없는 이유다.

그렇다면 필연적으로 '4일 휴식 후 등판'이 생긴다. 다만 리그별로 차이는 있다. 1년에 162경기를 치러야 하는 미국 메이저리그(MLB)는 10연전 이상의 긴 일정을 소화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로테이션대로 돌아가면 4일 휴식 후 등판이 많을 수밖에 없다. 반면 월요일 휴식일이 있는 한국이나 일본의 경우는 상대적으로 그 수가 적다. 한국이나 일본 투수들이 4일 휴식 후 등판을 어려워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한화의 '구세주'로 각광받았던 에스밀 로저스(30)가 28일 1군 엔트리에서 말소됐다. 구단은 몸에 이상이 있는 것이 아닌, 휴식 차원의 1군 말소라고 설명했다. 그럼에도 여러 가지 추측이 난무하고 있다. "단순한 휴식이라면 하루 이틀 정도 더 휴식일을 주고 등판시키면 될 텐데, 로테이션을 아예 건너뛸 수밖에 없는 1군 말소를 선택했느냐"는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그 상황을 이야기할 수 있는 김성근 한화 감독이 인터뷰를 거절해 현 시점에서는 구단 발표를 신뢰할 수밖에 없다. 그렇다면 로저스의 어깨에 피로가 쌓였다는 점은 확실해 보인다.

"KBO 리그 역사상 최고의 구위를 가진 외국인이다"는 평가를 받았던 로저스였다. 하드웨어는 압도적으로 보였다. 그는 입단 후 5경기 중 3경기에서 완투 혹은 완봉승을 거뒀다. 5경기에서 투구수는 총 599구로, 경기당 평균 119.8구를 던지면서도 150㎞ 이상의 빠른 공을 거침없이 던졌다. 그리고 이 중 KBO 리그에서 정상적인 등판 간격으로 여겨지는 5일 휴식 후 6일째 등판은 한 번밖에 없었다. 나머지는 모두 4일 휴식 후 5일째 등판이었다.

김성근 감독은 로저스를 두고 "알아서 힘을 안배하며 던질 줄 안다"라며 4일 휴식 후 등판 계획을 짰고 27일 마산 NC전에 출격했다. 그러나 이날 129구를 던지며 3경기 연속 120구 이상을 던진 로저스는 결국 그 다음날 탈이 났다. 5위 싸움에 갈 길이 바쁜 한화는 비상사태다. 로저스를 최대한 활용해 5강 싸움의 밑천으로 삼으려는 계획도 제동이 걸렸다. 끄떡없을 것으로 보였던 로저스도 로봇은 아니었던 셈이다.

그렇다면 리그 전체의 4일 휴식 후 등판일지는 어떨까. 국내 투수보다는 외국인 투수들의 비중이 훨씬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규정이닝을 채운 국내파 투수들 중 가장 많은 4일 휴식 후 등판을 가진 선수는 유희관(두산)으로 4번이었다. 양현종(KIA) 김광현(SK) 윤성환 차우찬(이상 삼성)은 3회, 장원준(두산)은 2회가 전부였다. 화요일에 등판하면 일요일에 나서야 하는 상황상 오히려 더 배려를 받았음을 알 수 있다. 사실 우리 선수들은 여전히 4일 휴식 후 등판의 루틴이 낯설다.

반면 외국인 선수들은 탈보트(한화)와 스틴슨(KIA)이 가장 많은 9회의 4일 휴식 후 등판을 했고 레일리(롯데, 8회), 린드블럼(롯데, 7회), 소사(LG, 7회), 옥스프링(kt, 6회), 루카스(LG, 6회) 등이 상대적으로 많은 4일 휴식 후 등판을 가졌다. 재밌는 것은 이도 팀별로 편차가 있었다는 것. 삼성의 두 외국인 투수(피가로, 클로이드)는 4일 휴식 후 등판이 2번밖에 없었다. 또 레일리처럼 4일 휴식 후 등판 때 성적이 월등히 좋은 이상 케이스도 존재했다. 어느 기준 하나로 딱 설명하기는 쉽지 않은 문제라는 것이다.

혹자들은 외국인 투수의 경우 미국에서 이미 4일 휴식 후 등판이 일상적이었기 때문에 큰 문제는 없다고 이야기한다. 어느 정도 맞는 이야기다. 류현진의 경우 2013년 첫 시즌 당시 4일 휴식 후 등판이 14번, 5일 휴식 후 등판이 9번, 그리고 6일 이상 휴식 후 등판이 7번이었다. 한 시즌을 풀타임으로 돌면 다른 투수들도 대략 이런 수치가 나온다. 물론 에이스로 갈수록 4일 휴식 후 등판의 비중은 조금 높아진다.

여기서 선행되어야 할 것은 투구수 관리다. MLB의 경우 4일 휴식 후 등판이 잦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선발 투수들에 대한 투구수 관리가 매우 철저한 편이다. 실제 2013년 당시 류현진은 최다 투구수는 114구였으며 대다수가 100개 초반에서 끝났다. 세 번 연속 4일 휴식 후 등판이 될 경우 임시 선발을 하나 끼어 휴식일을 조정해주는 경우도 흔하다. KBO 리그에서도 4일 휴식 후 등판 예정인 투수는 100개 내외에서 투구수를 관리해주는 경우가 많다. 되도록 연속 4일 휴식 후 등판은 피하는 것이 일상적이다.

이 때문인지 4일 휴식 이후 129구는 올 시즌 전 세계적으로도 거의 사례가 없다. MLB 최고 투수라는 클레이튼 커쇼(LA 다저스)도 올 시즌 120구 이상 경기가 딱 1번, 그리고 연속 110구 이상 경기도 딱 1번이었다. 외국인 선수 사정에 밝은 한 관계자는 "사실 외국인 선수들이야 자주 나가 옵션을 따내면 좋기 때문에 마다할 이유는 없다. 하지만 구위가 떨어진다는 것은 기록에서 다 드러난다"라면서 "구위를 유지할 수 있다면 이 돈을 받고 한국에 있을 이유가 없다. MLB에 있어야 하지 않겠나"라고 반문했다.

사령탑으로서는 확실한 선수를 한 번이라도 더 써먹고 싶은 것이 당연하다. 딜레마도 여기서 생긴다. 갈 길이 바쁜 팀이라면 더 그렇다. 상황이 되면 응당 나서야 하는 경우도 있다. 다만 향후 상황을 내다본 관리는 반드시 필요하다. 순위싸움이 치열짐에 따라 4일 휴식 후 등판은 앞으로 더 많아질 수 있다. 각 팀 사령탑들의 관리 능력도 흥미롭다. /skullboy@osen.co.kr

[2015 프로야구 스카우팅리포트]

[요지경세상 펀&펀]

[Copyright ⓒ OSE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OSE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