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재시절 저항가요 '아침이슬'.. 이젠 북한 금지곡

최윤필 입력 2015. 8. 28. 04:43 수정 2015. 8. 28. 08:33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기억할 오늘 : 8월 28일]

'아침이슬'이 실린 음반 '김민기 1집'이 나온 건 1971년이지만, 그 노래가 처음 발표된 건, 강준만의 '한국현대사 산책'에 따르면, 1970년 8월 28일이다.

"긴 밤 지새우고~"로 시작되는 노래는 이후 밤을 지새는 저마다의 숱한 사연들과 더불어 온갖 자리 온갖 분위기에서 널리 불리며, 또 저마다의 "저 거친 광야로" 나아가게 한 반려의 노래가 됐다. 노래에 깃든 묘한 서정을 평론가 강헌은 '영웅적 비극성'이라 했고, 시인 김지하는 '죽음과 부활의 종교성'이라 했다. 밤과 한낮, 이슬과 묘지, 설움과 미소, 밤과 태양, 더위와 광야로 마주보며 이어지는 상징들의 전개는, 스무 살 청년의 의도와 무관하게, 한국 현대사 그리고 개인들의 처지랄지 팔자랄지 하는 것과 희한하게 조응하며 무수한 절망과 덧없는 희망의 세월을 견디게도 했다.

독재정권의 문화정책 종사자들이 그의 노래를 탄압한 것은, 권력의 입장에서 보자면 성실한 조치였다. 국민교육헌장을 외워야 했던 시민들에게 "무궁화 꽃을 피우는 아이"가 "이른 아침 꽃밭에 물도 주었"는데 "날이 갈수록 꽃은 시들어"가더라는 노래(1집 수록곡 '꽃 피우는 아이')를 듣고 부르게 할 수는 없었을 것이다. 하지만 당시의 공무원들은, 대개의 문화적 억압이 그러하듯, 그의 노래들이 어둠 속에서 더 간절하게 더 널리 불리리라는 사실을 알 만큼 생각이 밝지는 못했다. '아침이슬'이 금지곡이 된 건 1975년이었다.

87년 서울시청 광장 이한열 노제에 운집한 시민들이 '아침이슬'을 합창할 때, 김민기도 현장에 있었다고 한다. 지난 4월 한겨레신문 인터뷰에서 그는 "아, 이건 이제 내 노래가 아니구나"하고 "그때 생각했다"고 말했다. 사실 그의 노래가 '그'의 노래였던 세월은 45년 전 오늘로부터 불과 얼마 되지 않았을 것이다. 71년 봄 어떤 이의 환송회가 열린 대한일보사 강당에서 그가 부르는 저 노래를 처음 듣고 구겨진 악보를 얻어 자신의 첫 음반에 수록한 18살의 양희은은 자전에세이 '이루어질 수 있는 사랑'(우석출판사, 1993)에서 "('아침이슬'이 없었으면) 나는 가수 양희은이 안 되었을지도 모른다"고 썼다.

87년 6월 김민기의 창작곡집 '아빠얼굴 예쁘네요'가 공연윤리위원회의 심의를 통과한 것을 신호탄으로, '아침이슬'도 해금됐다.

2008년 4월 북한뉴스 전문 매체 '데일리NK' 보도에 따르면 '아침이슬'은 북한의 금지곡이다. 96년 북한 선전당국이 "남한 인민들의 반미 데모의 노래"로 '아침이슬'을 소개했는데, 너무 유행하면서 분위기가 묘해지자 98년부터 금지시켰다는 것이다. 기사는 "주민들은 자연스럽게 그 노래 속에 사회에 대한 저항의식이 있음을 느끼게 되었"다고 썼지만, 저항의식의 씨앗은 노래 자체가 아니라, 시대와 사회의 맥락 안에 있다고 하는 게 더 맞을 것이다.

최윤필기자 proose@hk.co.kr(mailto:proose@hk.co.kr)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