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사 수조원대 '공갈 매출' 시한폭탄 '째깍째깍'

이진혁 기자 2015. 7. 30. 06:0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현대건설 미청구공사액 5조원대…작년 매출의 3분의1
-GS건설, ‘장부에만 있는 돈’ 1분기에만 2조7000억원

올해 2분기 3조원대의 영업손실을 기록하면서 홍역을 치르고 있는 대우조선해양. 금융투자업계는 미청구공사액이 급격하게 늘어나면서 회사가 이를 실적에 제때 반영하지 못해 생긴 문제라고 진단한다. 대우조선해양의 미청구공사액은 9조9149억원. 지난해 매출액의 56%에 달한다.

장부에만 잡히고 실제는 들어오지 않은 미청구공사액이 조선업계뿐 아니라 사업구조가 유사한 건설업계에서도 시한폭탄으로 떠오르고 있다.

미청구공사액이란 발주처에서 받지 못한 돈을 말한다. 매출채권과 비슷한 개념이지만, 성격은 다르다. 매출채권보다 떼이기 쉽고, 충당금으로 설정하지도 않는데, 매출로 잡혀 여러모로 리스크가 크다.

조선업이나 건설업의 경우 공사 진행률에 따라 매출액을 반영한다. 하지만 발주처와 진행률에 이견이 생기면, 일부를 미청구공사액으로 잡는다. 가령 1조원짜리 프로젝트의 공정률이 20%라면 매출액을 2000억원으로 계산하는데, 발주처에서 10%만 진행됐다고 판단하면 건설·조선사는 나머지 10%는 미청구공사로 잡아야한다. 공기가 길어지면 길어질 수록 미청구공사액도 급격하게 불어나기 때문에 손실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사실 2년 전에도 건설업계에서 비슷한 일이 있었다. GS건설과 삼성엔지니어링이 2013년 각각 9566억원과 1조281억원의 적자를 기록했을 때 ‘미청구공사액의 늪’에 빠졌었다. 두 회사 모두 2010년에는 미청구공사액이 8000억원대였는데, 2012년 2조원대까지 늘어났다. 장부상으로는 모두 이 금액이 매출로 잡혔지만, 사실은 ‘없는 돈’이었다. 결국 이 금액을 손실로 반영하면서 어닝쇼크로 이어졌다.

최근에는 미청구공사액이 다시 건설업계에 잠재적 리스크로 부각될 가능성이 있다는 경고가 나오고 있다. 실제로 사업 특성상 건설사의 미청구공사액 규모가 크고, 최근 급속도로 늘어난 회사도 나타났다.

현대건설의 미청구공사액은 올해 1분기 기준으로 5조1355억원이다. 2013년 말보다 1조원가량 증가했다. 현대건설의 지난해 매출은 17조3870억원. 매출액의 약 29.5%가 회계상으로 이익으로 잡혔지만, 사실 장부상으로만 존재하는 돈인 셈이다.

GS건설은 3개월만에 3354억원의 미청구공사액이 늘었다. 올해 1분기 기준으로 2조7170억원에 이른다. 지난해 매출액(9조4876억원)의 28.6%에 이른다. 10대 건설사로 꼽히는 포스코건설, 대림산업, 대우건설이 모두 1조원대의 미청구공사액을 안고 있다. 언제 터질지 모르는 손실을 시한폭탄처럼 품고 있는 셈이다.

건설업계에서는 GS건설과 삼성엔지니어링의 어닝쇼크 등으로 원가율과 리스크를 철저하게 관리하는 내성이 이미 건설사에 생겼고, 현금흐름 역시 나쁘지 않다며 부실 사태로 진화하진 않을 것이라고 본다.

하지만 금융투자업계는 미청구공사액을 지금보다 더 철저하게 관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형 증권사 한 애널리스트는 “건설사들의 경우 최근 영업이익이 나고 있고, 현금흐름도 나쁘지 않아 괜찮지만, 장기적으로 이 금액을 관리하는게 중요하다”며 “아니면 2년 전처럼 미청구공사액이 시한폭탄으로 돌아올 수 있다”고 지적했다.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