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日 올림픽 딜레마' 평창 신축..日 전면 백지화

CBS노컷뉴스 임종률 기자 2015. 7. 28. 17:54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일 올림픽의 미래는?' 평창올림픽 조양호 조직위원장(왼쪽부터)이 김연아를 홍보대사로 위촉하는 모습과 최근 현역 복귀 의사를 밝히면서 평창올림픽 출전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는 일본 피겨 스타 아사다 마오.(자료사진=황진환 기자)
한국과 일본은 3년 뒤부터 올림픽을 잇따라 개최한다. 한국은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을, 일본은 2020년 도쿄하계올림픽을 연다. 동, 하계 스포츠 축제 개최는 한일 양국의 스포츠 위상을 확인할 수 있는 경사다.

하지만 한일 두 나라 국민 모두 올림픽 개최에 마냥 박수만 치는 것은 아니다. 막대한 비용이 지출되는 까닭이다. 가뜩이나 좋지 않은 양국의 경제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을까 하는 우려다.

특히 천문학적인 금액이 지출되는 경기장 건설은 올림픽의 딜레마로 꼽힌다. 대회를 치르는 데 필수적이나 사후 이용과 관리 계획이 부실할 경우 자칫 돈 먹는 공룡이 되는 까닭이다. 지난해 아시안게임을 치른 인천은 주경기장 신축 등 2조5000억 원을 부채를 떠안아 파산 직전 위기에 몰린 상황이다.

평창 역시 인천의 전철을 밟지 않기 위한 여러 방안이 논의됐다. 경기장 건설 등이 지지부진하자 국제올림픽위원회(IOC)가 1998년 나가노동계올림픽을 치른 일본과 분산 개최를 권한 것. 정부도 일본과 분산 개최는 반대하면서도 비용 절감을 위해 서울 등에 경기를 분산해서 치르는 방안을 검토한 바 있다.

일단 강원도와 평창은 지난 3월 정부와 협의를 통해 단독 개최 의지를 다졌다. 이미 경기장 건설에 수백억 원의 예산이 투입됐고 개막이 3년도 채 남지 않은 상황에서 현실적으로 분산 개최는 어렵다는 판단이었다. 이미 강원도는 알펜시아 리조트를 건설하는 데 1조5000억 원 이상을 들인 상황이다. 평창 올림픽에는 당초 예산에서 약 50% 늘어난 13조 원의 예산이 투입될 예정이다.

2013년 강원도 평창 용평돔에서 진행된 2013 평창 동계 스페셜올림픽 세계대회 개막식 모습.(자료사진=황진환 기자)
이런 가운데 일본은 주경기장 건축에 대해 전면 백지화 방침을 세웠다. 올림픽 개최까지 상대적으로 더 많은 시간이 남았기에 가능한 일이다.

일본 요미우리신문은 28일 "도쿄올림픽 조직위원회가 29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루프 IOC 이사회에서 주경기장(신 국립경기장) 건설 계획을 백지 철회하고 디자인부터 재검토하는 것을 보고하고 이해를 구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미 아베 신조 총리가 지난 17일 모리 요시로 조직위원장과 만나 발표한 내용이다.

이는 건설 비용이 예상보다 크게 늘어난 까닭이다. 총 공사 비용이 당초 금액보다 900억 엔(약 8100억 원) 는 2520억 엔(약 2조3313억 원)으로 불어난 데 대한 반대 여론이 급등하면서 원안을 철회한 것이다.

이런 가운데 IOC 이사회는 31일 2022년 동계올림픽 개최지를 결정한다. 중국 베이징과 카자흐스탄 알마티가 경합 중이다. 이미 경제 성장이 정점을 찍은 한일과 달리 올림픽을 통한 국가 통합의 필요성이 필요한 국가들이다. 만약 중국이 개최권을 따낸다면 한중일 극동 3국이 동하계를 통틀어 3개 대회 연속 올림픽을 유치하는 것이다.

스포츠 강국의 입지를 다지고 위상을 확인하는 올림픽. 그러나 엄청난 개최 비용은 분명히 큰 부담이 되고 있다. 과연 상반된 한일 양국의 올림픽 준비가 어떤 결과로 이어질지 지켜볼 일이다.

[CBS노컷뉴스 임종률 기자] airjr@cbs.co.kr

Copyright ©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