잇따른 폭발사고에 시민불안 '증폭'.. 안전대책 문제 많다

최지호 입력 2015. 7. 3. 20:24 수정 2015. 7. 3. 21:3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뉴스데스크]

◀ 앵커 ▶

그런데 돌이켜보면 유독 울산지역에서 이런 폭발이나 누출사고가 반복해서 발생하고 있지 않습니까?

울산의 경우 위험물질을 취급하는 사업장이 7500곳이 넘는다는데, 하지만 안전 대책에 관해선 여전히 문제가 많다는 지적입니다.

최지호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리포트 ▶

오늘 사고는 저장조 내부에 들어차 있던 잔류가스를 제대로 확인하지 않고 작업을 하다 일어났습니다.

기본적인 안전 수칙을 지키지 않은 겁니다.

하지만 회사측은 밀폐된 저장조 내부 가스가 왜 폭발했는지 사고 경위조차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안인수/한화케미칼 환경안전팀장]

"어떠한 연유에 의해서 내부에서 폭발사고가 발생했는지 좀 더 사고조사를 한 후에.."

울산에서는 이런 사고가 끊이질 않습니다.

지난해 12월23일에는 한 비료 제조업체에서 배기가스 여과장치가 폭발해 근로자 2명이 부상을 당했습니다.

이어 울주군 신고리 원전 3호기 건설현장에서 질소가스 누출로 3명이 숨졌고, 또 울산항 부두에서 1천5백 톤급 화학물질 운반선이 폭발해 선원 4명이 다쳤습니다.

[박재훈/울산시민]

"구조적으로 시스템적인 문제가 아닌가 싶어요. 솔직히.. 사고 난 거 보면 다 예방책이 있고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내용들이잖아요."

울산공단은 40년이 넘은 노후산업단지로 지난 5년간 사상자만 300명이 넘습니다.

또 위험물질을 취급하는 사업장은 7,500곳이 넘습니다.

사용되는 위험물질만도 1억 6백만 톤.

전국 사용량의 30%에 가까운 양입니다.

정부와 지자체, 기업들은 사고가 날 때마다 안전문화 정착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하지만 안전에 대한 근본적인 인식과 대책은 여전히 부족해 보입니다.

MBC뉴스 최지호입니다.

(최지호)

[저작권자(c) MBC (www.imnews.co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Copyright © MBC&iMBC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