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시세끼', 차승원의 빈자리로 만들어낸 역발상

정덕현 2015. 2. 28. 08:14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차승원의 부재로 드러난 '삼시세끼'만의 저력

[엔터미디어=정덕현] tvN <삼시세끼> 어촌편 승승장구의 일등공신은 단연 차승원이다. 그가 만들어낸 놀라운 요리들은 <삼시세끼>의 밥상을 한 차원 업그레이드시켰다. 홍합을 채취해와 만든 홍합짬뽕에서부터 보였던 쿡방의 향연은 생선찜에 어묵탕으로 이어지더니 심지어 아궁이를 개조해 만든 가마에서 빵을 구워 내는 단계로까지 이어졌다.

만일 보통의 연출자라면 차승원의 부재는 용납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다. 든 자리는 몰라도 난 자리는 안다고, 딸 바보 차승원이 딸 예니의 생일을 챙겨주기 위해 무려 20시간의 왕복을 감행(?)한다는 건 물론 훈훈한 일이지만 방송 프로그램의 입장에서 보면 상당한 공백을 만들기 때문이다. 하지만 <삼시세끼>는 이런 빈자리 또한 새로운 스토리텔링의 기회로 삼는 모습을 보여줬다.

차승원이 있는 만재도와 그가 없는 만재도는 너무나 다를 수밖에 없다. 그러니 그가 빠져나간 만재도와 거기 남은 유해진과 손호준이 이 빈자리를 어떻게 채워나가는가 하는 건 또 다른 이야기가 된다. 차승원이 있을 때의 상차림과 그가 뭍으로 나간 후 유해진이 처음으로 회를 떠 회덮밥을 만들고 얼렁뚱땅 만들어낸 된장국과 함께 먹는 모습은 자연스러운 비교점을 만들어준다.

그러면서 엉성하지만 어딘지 여유가 묻어나는 유해진의 밥상은 <삼시세끼> 어촌편의 새로운 이야기가 된다. 차승원이 뭍으로 나가기 전 레시피를 알려준 손호준이 거기에 집착해 전전긍긍하고 있을 때 유해진이 설렁설렁 대충대충 요리를 해내는 모습은 그 자체로 흥미롭다. 물고기 한 마리를 죽이지 못하는 그가 어찌 어찌 회까지 떠서 내놓은 회덮밥을 감탄하며 먹다가 손호준이 가시가 가득하다며 뱉는 장면은 코미디의 한 대목을 보는 것처럼 큰 웃음을 준다.

게다가 이런 차승원 없이 지내는 유해진과 손호준의 20시간은 누구나 공감할만한 정서를 담아낸다. 마치 잔소리꾼 엄마가 여행이라고 가고 나면 남겨진 이들이 한편으로는 자유(?)를 느끼면서도 한편으로는 그리움을 갖게 되는 것처럼, 이들의 20시간은 겉보기의 여유로움과 빈자리가 만드는 허전함을 동시에 느끼게 만들었다. 이 정도면 차승원은 실제로는 없었지만 충분히 있는 존재로서 기능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차승원의 부재가 새삼 떠올리게 한 것은 <삼시세끼>의 본질이다. 이 프로그램의 본령은 본래 화려한 밥상을 거의 요리 수준으로 매번 챙겨먹는 그런 것이 아니다. 소박하더라도 거기 나는 재료로 무언가를 해먹는다는 것에 더 큰 의미가 있다. 물론 차승원은 자신의 숨겨졌던 재능을 보인 것뿐이지만, 그가 매번 내놓은 놀라운 밥상은 그것을 당연한 것으로 여겨지게 만들 수 있다. 차승원의 등장 이후 시청자들은 무언가를 점점 더 바라게 되었다. 이번에는 또 어떤 요리가 선보여질까를 기대하게 된 것이다.

하지만 본래 <삼시세끼>의 핵심은 더하기가 아니라 빼기에 있다. 자꾸만 뭔가를 더 바라는 것이 아니라 빠져 있어서 오히려 새로운 걸 발견하게 되고 또 갖고 있는 것들의 소중함을 느끼는 그런 것이다. 그러니 쉴 새 없이 업그레이드된 요리를 선보이던 차승원이 잠시 부재한 상황은 본래의 <삼시세끼>를 되돌아보게도 해주고, 또 그의 요리가 실로 특별했다는 걸 상기시켜주는 계기가 되기도 한다.

나영석 PD의 <삼시세끼>가 힘을 발휘하는 가장 큰 이유 역시 이 차승원의 부재를 대하는 프로그램의 면면을 통해서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거기에는 제작진의 무리한 욕심보다는 자연스러운 흐름이 느껴지고, 그 흐름 안에서 오히려 또 다른 스토리텔링이 가능해진다는 걸 발견하게 된다. 이런 역발상이야말로 무언가를 하기 보다는 오히려 하지 않는 것으로 예능의 새로운 이야기를 가능하게 한 <삼시세끼>의 저력일 것이다.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tvN]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Copyright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