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보다 400만원 많은 한국 대졸 초임

김기찬 2015. 1. 27. 00:33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일 임금 비교해보니한국은 채용할 때 많이 주고일본은 승진하면 연봉 뛰어대·중소기업 대졸 초임 차이한국 700만원, 일본 130만원

한국의 대졸 신입사원은 일본 기업에 비해 두둑한 월급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신 직급이 오를수록 임금 인상은 박해진다. 한국 기업은 인재를 뽑을 때는 돈을 듬뿍 쓰지만 채용한 뒤에는 많이 주지 않는다는 얘기다.

▷여기를 누르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런 임금 정책은 일본 기업과 정반대다. 일본의 대졸 초임은 한국보다 적다. 대신 직위가 높아질수록 임금이 확 뛴다. 성과와 생산성이 검증되기 전인 신입사원 때는 임금을 적게 주고, 역할과 책임이 무거워지면 그에 걸맞은 대우를 한다는 뜻이다.

 특히 한국에선 능력과 상관없이 기업의 규모에 따라 임금 격차가 크다. 한국에선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대졸 초임이 26%나 차이 난다. 일본은 기업 규모에 따른 임금 격차가 5%가 채 안 된다. 이러다 보니 한국 청년들은 일본과 달리 대기업 입사만 노린다. 이런 임금 불균형이 노동시장의 미스매치(불균형)와 청년실업의 원인이란 지적이 나온다.

 중앙일보가 한국경영자총협회의 2014년 임금조정실태와 일본 산로종합연구소의 2014년 임금실태조사 자료를 비교 분석한 결과다.

 한국 기업의 대졸 초임 평균은 3340만8000원으로 일본(2906만8000원)보다 14%(434만원) 많았다. 1인당 국민소득(GNI)이 일본의 63.2%에 불과한 현실을 감안하면 한국의 대졸 초임은 상대적으로 크게 높은 편이다. 익명을 요구한 대기업 인사담당임원은 "기업이 우수인력을 확보하기 위해 경쟁적으로 초임을 높게 책정한 탓도 있지만 '내 회사가 최고'라는 식의 불필요한 자사 이미지를 만들기 위해 초임 인상 경쟁을 편 것이 가장 큰 원인"이라고 진단했다.

 더 큰 문제는 기업 규모에 따라 대졸 초임 차이가 크다는 점이다. 대기업은 신입사원에게 3600만원이 넘는 초봉을 주는 반면 중소기업은 2900만원 정도를 첫 연봉으로 준다. 무려 700만원이나 차이가 난다. 일본은 규모에 따른 대졸 초임 차이가 130만원(4.7%)에 불과하다. 일본 노동정책연구연수기구의 스즈키 마코토(鈴木誠) 연구위원은 "직무와 능력에 따라 임금이 주어지기 때문에 대·중소기업 간 임금 격차가 크지 않다"며 "그래서 대졸자가 기업 규모를 보고 취업하는 경향은 적다"고 말했다. 일본 후지쓰의 이타쿠라 가즈토시(板倉和壽) 노조위원장은 "사람을 써보지 않고 어떻게 많은 임금을 주는가? 임금은 받는 것이 아니라 성과에 따라 버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래서일까. 일본은 직급이 높아질수록 임금이 확 뛴다. 규슈산업대 안희탁 교수는 "능력이 검증되고, 성과가 있었기 때문에 승진했을 것이다. 그 역할과 책임의 무게도 무거워진다. 이에 따른 확실한 보상을 해야 한다는 것이 일본 기업의 임금정책"이라고 말했다. 한국은 승진해도 임금이 그리 많이 오르지 않는다.

 실제로 일본 기업에선 사원을 거쳐 대리로 승진하면 신입사원 때보다 임금이 무려 61.3%(1781만원) 오른다. 한국은 34.2% 정도 인상된다. 그래서 신입사원 때는 한국의 임금이 많지만 직급이 오르면 역전된다. 처음 입사할 때 일본 회사원보다 434만원 더 받던 한국 근로자는 대리직급에선 일본보다 203만5000원 적게 받는다. 차장이 되면 임금 차가 390만7000원으로 벌어지고, 임금피크제 대상이 되는 부장 때는 358만3000원이 된다.

 한국경영자총협회 김동욱 기획홍보본부장은 "대졸 초임이 지나치게 높아 기업 내 임금배분에 심각한 왜곡현상이 나타나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교육비, 주거비, 경조사비와 같은 자금 소요가 많은 상위직의 임금이 상대적으로 낮아 임금수준에 대한 상위직의 불만이 상존할 수 있다"며 "이것이 상위직급의 근로의욕을 떨어뜨리고 생산성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인천대 김동배 교수는 "첫 출발(초임)부터 너무 차이가 나는 임금체계가 지속되면 사회적 조정 메커니즘이 작동하지 않게 된다"며 "능력과 성과, 생산성에 따른 임금체계가 정착되려면 직급별 임금체계를 바로잡는 작업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김기찬 선임기자

계약직 40대…모뉴엘에 떼일 뻔한 850억원 지켰다

'군데렐라' 이정협 "거수 경례 안하면 큰일난다"

PK 실축…차두리, 43년 전 아버지의 한 풀었다

北 난방…주민은 구멍탄, 고위층은 한국산 태양광

걸을 때마다…'뒤트임 치마' 女모델 아슬아슬 런웨이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