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식공룡 데이노케이루스 정체 반세기 만에 한국 과학자가 밝혔다

임소형 2014. 10. 23. 02:07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융남 지질자원소원硏 지질박물관장 머리뼈·발뼈 전체 화석 모아 분석

우리나라가 주도한 국제공동탐사팀이 몽골 고비사막에서 발굴한 데이노케이루스의 화석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제공

이융남 지질박물관장이 밝혀낸 데이노케이루스의 복원도.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제공

1965년 몽골 고비사막에서 폴란드 과학자들에 의해 앞발 화석이 발견된 뒤 학계의 최대 수수께끼로 남아 있던 공룡의 정체를 국내 과학자가 반세기 만에 완전히 밝혀냈다.

'데이노케이루스 미리피쿠스'라는 이름의 이 공룡은 백악기에 살던 타조공룡류에 속하는 잡식성으로 확인됐다. 머리부터 꼬리 끝까지 11m, 키 5m, 몸무게 6.4톤인 데이노케이루스는 잘 알려진 육식공룡 티라노사우루스와 비슷한 크기다. 이를 규명해낸 주인공은 국내 1호 공룡학 박사인 이융남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박물관장. 데이노케이루스의 정체를 상세히 설명한 이 관장의 논문은 영국 과학학술지 '네이처' 23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이 전까지 데이노케이루스를 둘러싼 많은 추측이 난무했다. 거대한 앞발과 날카로운 발톱 때문에 티라노사우루스보다 크고 흉포한 육식공룡일 거라는 예상이 주를 이뤘다. 이름도 그리스어로 '독특한 무서운 손'이라는 뜻이다. 그러나 몽골 미국 캐나다 등 7개국과 함께 조직한 국제공동탐사팀이 고비사막에서 몸통 여러 부위 화석을 추가로 발견해 분석한 결과 데이노케이루스가 초식을 했다는 사실을 알아냈고, 이 관장은 이를 지난해 미국척추고생물학회에 발표했다.

그런데 탐사팀이 발굴한 데이노케이루스 화석 중엔 머리뼈와 발뼈가 빠져 있었다. 몽골 도굴꾼들이 파간 것이다. 이들의 행방을 찾던 이 관장에게 벨기에의 한 개인이 도굴된 뼈들을 소장하고 있다는 연락이 왔다. 탐사팀의 설득으로 머리뼈와 발뼈 모두 올 5월 몽골에 반환됐고, 이 관장은 반세기 동안 수집된 뼈들을 모아 분석을 완료했다.

데이노케이루스는 기존 공룡들과 다른 독특한 특징을 여럿 갖고 있다. 척추 위로 솟아오른 돌기 때문에 등이 단봉낙타처럼 생겼고, 가슴 쪽은 좁다가 골반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희한한 모양이다. 주둥이는 긴데 이빨이 없다. 긴 목은 S자로 휘었다. 큰 덩치 때문에 앞으로 고꾸라지지 않기 위해 상체를 든 채 천천히 걸어다니며 나뭇잎을 뜯어먹거나 얕은 물에서 물고기를 훅 빨아들여 잡아먹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이 관장은 "한국이 주도한 고생물학 연구가 네이처에 게재된 건 처음"이라며 "침체돼 있는 국내 고생물학이 발전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임소형기자 precare@hk.co.kr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