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지 마세요" 주민들이 통행 막는 위험한 다리

김도균 기자 2014. 10. 21. 21:3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성수대교 상판 붕괴 20년을 계기로 우리 교량의 문제 한번 짚어보겠습니다. 성수대교 같은 대형 교량도 문제지만 전체 교량의 3분의 2에 이르는 소형 교량 상당수는 아예 관리의 사각지대에 있습니다. 주민들이 직접 나서서 통행을 막는 상황까지 벌어집니다.

안전이 미래다, 김도균 기자입니다.

<기자>

길이 34m의 작은 다리, 충남 보령 벽동교입니다.

지난 2012년 즉각 폐쇄해야 하는 수준의 최하 안전등급, E 등급 판정을 받았습니다.

[주민 : (공무원들이 먼저 알아서 위험하다 해서 진단한 게 아닌가요?) 아니 주민들이 먼저 그랬지. 차 못 들어가게 막고 별짓 다 했지.]

이후 15톤 이상 차량의 통행을 전면 금지했는데, 25톤이 넘는 트럭들도 아무렇지 않게 계속 지나다닙니다.

[공사업체 직원 : 저희가 지금 크랙이나 이런 부분들을 이제 중간중간 확인을 하는데, 다리는 아무 이상이 없어요.]

임시로 다리 밑에 커다란 H빔을 받쳤다는 겁니다.

다리 밑으로 내려가 봤습니다.

여러 곳에 금이 갔고, 곳곳엔 철근도 드러나 있습니다.

H빔을 지탱하는 철근도 고정되지 않은 채 덜렁거립니다.

[공사업체 직원 : ((H빔 받치고 난 뒤에) 진단은 안 받은 거죠?) 진단은 받지는 않았는데 여기 이제 설계를 구조 계산을 해서.]

30m 길이의 천안 길마재교입니다.

발로 살짝 쳐도 크게 울리는 소리가 납니다.

이미 2002년에 D등급 판정을 받았지만 중량 제한 조치만 한 채 방치돼 있습니다.

[유상구/인근 주민 : 이거 만날 위험하다고. 시의원들한테 몇 번이나 그랬어요. 해줄 때만 바라고 있는 거예요.

지금 우리. 만날 논쟁이에요. 만날 해마다.]

이렇게 100m 미만의 소형 교량들은 시설물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대상이 되지 않기 때문에 정기적인 안전점검이나 정밀안전진단의 대상이 되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렇게 노후화될 때까지 방치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전국 2만 9천여 개 다리 가운데 67%가 이런 소형 교량입니다.

수십 년이 지나 특정관리 지정 대상물이 되면 6개월에 한 번씩 점검을 하는데, 비전문가인 담당자가 육안으로 검사하는 수준입니다.

[박종섭/상명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교수 : 전체적인 안전이나 여러 가지 점검·진단, 시스템 차원에서 봤을 때는 필요하다면 이제 (점검대상 안에) 담아야 할 시기가 되지 않았나라는 생각도 듭니다.]

성수대교 사고 20년이 지났지만,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교량 관리는 여전히 제자리입니다.

[Change KOREA] 안전이 미래입니다

(영상편집 : 김호진, VJ : 김종갑)김도균 기자 getset@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