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공공기관·가계부채 2090조.. 빚더미 한국경제

서영진 2014. 9. 23. 20:47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중앙정부 부채 500조 돌파.. 성장보다 빚 증가속도 높아 재무건전성 비상

정부와 민간을 비롯한 전체 나랏빚이 급등하며 국가 재무 건전성에 빨간불이 켜졌다.

올해 7월 기준으로 중앙정부의 채무는 사상 처음으로 500조원을 돌파했고, 국가채무·공공기관 부채·가계부채 등 전체 나랏빚은 올해 2090조원에 달할 전망이다. 또 내년 국가예산에서 복지예산이 올해 대비 9조1000억원(8.5%) 늘어난 115조5000억원으로 책정되며 연간 국고채 발행계획 물량이 크게 증가하는 등 국가 채무에 대한 부담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에 따라 국가 재정의 건전성 확보와 민간 부채에 대한 관리가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기획재정부가 23일 발표한 '9월 재정동향' 자료에 따르면 올해 7월말 기준 중앙정부의 채무는 503조3000억원으로 500조원을 처음으로 돌파했다. 지난 6월에서 7월 사이 8조6000억원, 올 1월이후 39조3000억원이 증가하며 가파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정부의 2014~2018년 중기개정운용계획서에 있는 올해 중앙정부 채무 전망(499조5000억원)을 웃도는 규모로 국가 채무 건전성이 전년대비 크게 악화했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중앙정부의 채무가 급증한 가운데 정부와 민간 등 전체 나랏빚은 크게 불어나고 있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오제세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이 기재부와 한국은행 등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중앙정부와 지자체 등을 포함한 전체 국가채무는 527조원, 공공기관 부채는 523조원(지난해 말 기준), 가계부채는 1040조원(6월말 기준) 등 총 2090조원이다.

국가채무는 이명박 정부 말기인 2012년 1900조원보다 10% 증가한 것으로, 2013년 경제성장률(3%)보다 무려 3배가 높다. 나라 전체에서 벌어들이는 돈이 증가하는 속도보다 빚이 불어나는 속도가 더 빠른 셈이다. 기재부는 국내총생산(GDP) 대비 국가채무 비중이 올해 35.7%에서 2017년 36.7%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이에 따른 재정적자는 올해 25조5000억원에서 내년 33조6000억원, 2016년 30조9000억원, 2017년 24조원을 기록할 것으로 기재부는 예측했다. 지난해 재정적자는 21조1000억원이다.

최근 5년간 공공기관 부채도 빠르게 증가하는 모습이다. 올해 기준 2009년~2013년 공공기관 부채는 184조7000억원 늘었다. 연도별로는 2009년 338조5000억원(GPD 대비 29.4%)에서 2010년 398조9000억원(31.5%), 2011년 460조8000억원(34.6%), 2012년 498조원(36.2%), 지난해 523조2000억원(36.6%)이다.

가계부채 증가세 문제는 더 심각하다. 한국은행이 집계한 2003년 이후 가계부채 현황을 보면 2003년 472조1000억원이던 가계부채는 2007년 665조4000억원으로 5년간 약 226조3000억원 증가하는 데 그쳤지만, 이명박 정부 시절인 2008년(723조5000억원)에서 2012년(963조8000억원) 사이 무려 298조4000억원 급증했다. 박근혜 정부가 들어선 2013년 가계부채는 1021조4000억원에서 지난 6월 1040조원으로 1년 6개월 간 76조2000억원이 폭증했다.

오 의원은 "성장보다 빚을 더 늘리는 현재 상태가 지속된다면 재정과 정부, 국민이 모두 파탄 지경에 이를 것"이라고 지적했다.

서영진기자 artjuck@dt.co.kr

< Copyrights ⓒ 디지털타임스 & d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