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인도 밤섬, 한때 누군가의 집터였다

황인호 기자 입력 2014. 8. 30. 03:14 수정 2014. 8. 30. 03:14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강에 솟은 밤섬과 실향민들

밤섬은 서울 영등포구와 마포구 사이 한강에 떠 있는 무인도다. 수십년간 외부에서의 접근이 차단돼 원시림 같은 모습을 간직하고 있다. 2009년 무인도에 표류한 남자 이야기를 담은 영화 '김씨표류기'의 촬영지로 유명해졌지만 이곳이 한때 누군가의 집이었다는 걸 아는 이들은 생각처럼 많지 않다.

29일 밤섬을 찾은 유덕문(75) 할아버지는 음미하듯 천천히 땅을 밟으며 기억을 더듬었다. 유 할아버지는 태어나서 스물일곱 살까지 이곳에 살았다. 서울시 마포구 율도동(栗島洞) 60번지. 당시 밤섬의 행정 주소다. 유 할아버지는 친구들과 물놀이 하던 곳, 낚시하던 곳 등을 가리키며 흐릿해진 추억을 되새겼다.

그는 "밤섬은 당시에도 외딴섬이었어. 문명의 이기를 보지도 느끼지도 못했지"라며 40년 전 밤섬의 모습을 설명했다. 전기가 없어 호롱불을 켰고, 수돗물이 없어 한강 물을 마셨다. 그러나 동네에 서로 모르는 이웃이 없을 만큼 가깝게 지냈다고 했다.

유 할아버지는 이런 고향을 지근거리에 두고도 마음대로 갈 수 없다. 밤섬이 생태경관보전지역으로 지정되며 일반인 출입이 금지됐기 때문이다. 이날은 추석을 앞두고 밤섬 실향민들에게 1년에 딱 하루, 밤섬의 문이 열리는 날이었다.

1968년 여의도 개발 당시 정부는 필요한 잡석 채취를 위해 밤섬 주민들을 이주시킨 뒤 섬을 폭파했다. 율도동이라는 명칭도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당시 밤섬에 살던 442명은 고향을 떠나 마포구 창전동 와우산 기슭으로 이주했다.

섬은 폭파 후 수십년간 자생적으로 생태계를 유지하며 지금의 모습을 갖췄다. 유 할아버지는 멀리 신촌 방향을 바라보더니 바닥을 가리키며 "이쯤이 예전 우리 집이 있던 곳일 거야"라고 말했다. 그의 눈시울이 잠시 붉어졌다. 지금은 어른 키만 한 갈대와 수풀로 뒤덮여 예전의 집터는 완전히 사라졌다. 유 할아버지는 "이젠 같이 올 친구도 많지 않다"며 고개를 떨궜다. 그는 "지금은 당시 이주민 중 40∼50명만 생존해 있는 것으로 안다"고 했다.

주민들이 떠난 지금의 밤섬은 사람 대신 철새의 쉼터로 변모했다. 2012년 람사르 습지로 지정되기도 했다. 세계적으로 보기 드문 도심 습지로 인정받은 것이다. 사라진 섬 주변으로 퇴적물이 쌓이면서 지금의 밤섬을 이뤘고 면적도 서울광장의 21배에 달할 정도로 커졌다. 서울시는 밤섬 면적이 1966년 미군이 최초로 측정했던 4만5684㎡에서 매년 평균 4400㎡씩 증가해 현재 27만9531㎡(외곽길이 2895m)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유 할아버지는 "람사르 습지로 지정되기까지 했으니 내 고향인 밤섬을 좀더 신경 써서 보호해줬으면 좋겠다"며 "가슴 속에 늘 존재하는 마음의 고향을 위해 내가 해줄 수 있는 마지막 말이 아닐까 한다"고 말했다.

황인호 기자 inhovator@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뉴스 미란다 원칙] 취재원과 독자에게는 국민일보에 자유로이 접근할 권리와 반론·정정·추후 보도를 청구할 권리가 있습니다. 고충처리인(gochung@kmib.co.kr)/전화:02-781-9711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