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대한민국 뒤덮어가는 가축전염병.. 또 속타는 농심

입력 2014. 4. 24. 04:00 수정 2014. 4. 24. 15:2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전국이 가축전염병에 포위됐다. 조류인플루엔자(AI)는 좀체 종식될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전국적으로 돼지유행성설사병(PED)이 창궐해 축산농가의 시름이 깊은 가운데 접경지역은 북한발 구제역 전염사태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3일 충북 진천 거위농장에서 신고된 AI 의심사례가 고병원성으로 확진됐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해당 농장에서 기르던 거위 700마리를 살처분했다. 지난 1월 발병 이후 3개월 이상 지났지만 AI는 종식되지 않고 있다. 철새가 돌아가면 AI 사태가 끝날 것이라던 정부의 예상은 빗나갔다. 서울 강원도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에서 AI 발병 사례가 나왔다. 축산농가의 출입을 통제하는 차단 방역으로 확산을 막을 수 있다던 정부 주장도 옹색해졌다.

이번 AI 사태로 인해 매몰된 닭·오리 등은 1200만 마리를 넘어 사상 최대 규모로 기록됐다. 지난달 10일 이후 의심신고가 없다가 다시 발병하면서 종식 선언도 늦어지게 됐다. 철새가 눌러앉으며 텃새로 변할 경우 산발적인 AI 발병도 이어질 전망이다. 이렇게 되면 가장 늦은 종식선언 기록을 깰 공산이 크다. 2011년 5월 16일 최종 발병한 뒤 7월 3일에 종식선언한 것이 종전 기록이다.

양돈 농가들은 PED 때문에 시름이 깊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표본 조사 결과 올 들어 19%의 농가에서 PED가 발병했다. 발병 농가에서 1∼3월 태어난 새끼돼지의 25%가 폐사했다. 연구원은 전국적으로 같은 기간 태어난 새끼돼지 가운데 5.8%가 PED로 죽은 것으로 추정했다. 바이러스성 질병인 PED에 감염된 돼지는 심한 설사와 식욕부진, 구토 증세를 나타낸다. 특히 생후 3주 이내에 감염되면 90% 이상 죽을 정도로 새끼돼지에게 피해가 큰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엔 연간 12건에 그쳤지만 올 들어 23일까지 공식 보고된 사례만 58건에 이른다.

축산업계에 따르면 서울을 제외한 전국에서 발병 사례가 보고됐다. 정부는 예방 접종을 권장하지만 농가들은 PED 백신을 맞혀도 항체가 형성되지 않는다며 효능을 믿지 않는다.

게다가 휴전선 인근 축산 농가들은 구제역 초비상이 걸렸다. 북한에서 발병한 구제역이 전파될지 모른다는 공포 때문이다. 구제역 바이러스는 공기를 타고 50㎞ 이상 전파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와 농협은 예방 접종과 차단 방역을 철저히 해 달라고 해당 지역 축산 농가들에 신신당부하고 있다.

그러나 농협에 따르면 구제역 백신 공급률은 70.2%에 불과하다. 예방 접종을 해야 할 돼지 10마리 가운데 3마리 정도는 백신을 맞지 않는다는 추산이 가능하다. 구제역 백신은 돼지의 경우 목 부위에 접종하는데 고름이 생기는 등 '이상육'이 형성되기도 한다. 삼겹살에 이어 가장 높은 가격을 받는 목살 부위에 이상이 생기면 마리당 2만원 정도를 손해본다.

이에 일부 축산농가는 백신 접종을 기피한다. 정부의 허술한 차단 방역과 예방 조치를 꺼리는 농가의 방역 불감증이 가축 전염병 창궐 사태를 불렀다는 지적이 많다.

선정수 기자 jsun@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뉴스 미란다 원칙] 취재원과 독자에게는 국민일보 쿠키뉴스에 자유로이 접근할 권리와 반론·정정·추후 보도를 청구할 권리가 있습니다. 고충처리인(gochung@kmib.co.kr), 쿠키뉴스(kuki@kmib.co.kr)/전화:02-781-9711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