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 마을로 마실가다

2013. 3. 4. 12:0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제주·부산·화순군 등 낙후지역에 아름다운 벽화·조형물 장식..지역주민·예술가·관광객 소통하는 마을미술프로젝트로 전국 57곳 유명 관광지로 재탄생

제주 遊土彼我路·부산 감천마을 대표 모범사례지역스토리텔링 살아있는 작품으로 인기청년작가엔 일 할 기회·주민엔 예술적 포만감'또 다른 공해' 안되려면 장기적 관점서 접근해야

쪽빛 바다가 넘실대는 제주 서귀포는 이 땅에서도 가장 아름다운 곳으로 손꼽힌다. 그러나 서귀포 구(舊)도심 소암로 29번지에는 오랫동안 방치됐던 폐가가 있었다. 주변에 쓰레기만 잔뜩 쌓여 볼썽사나웠던 이 폐가가 최근 제주 미술가에 의해 멋진 예술체험장이 됐다.

젊은 작가 부지현은 폐가를 말끔히 손본 뒤, 공간 전체를 어둡게 색칠하고 바닥에는 커다란 흑경을 깔았다. 그리곤 어부들이 쓰던 폐집어등 100여개를 공중에 매달았다. 폐집어등에는 LED 조명이 부착돼 3~4분 간격으로 환하게 밝았다, 어두워졌다 하도록 했다. 미술관 또는 비엔날레에서나 볼 수 있는 독특한 설치미술이 서귀포시 도심에 등장한 것은 '마을미술프로젝트' 때문이다.

' 마을미술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제주도 서귀포 해안가에 설치된 정미진의 조각. 6ㆍ25전쟁 후 한때 서귀포에서 살았던 국민 화가 이중섭이 그림을 그리는 모습을 대형 조각으로 표현했다.

▶낙후된 지역이 '지붕 없는 미술관'으로

=지리·역사·생태·문화적 가치가 있는 마을을 공공미술을 통해 새로운 문화공간으로 재탄생시키는 이 프로젝트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주최하고, 마을미술프로젝트 추진위원회가 주관한다. 지난 2009년부터 시작된 프로젝트는 5년째에 접어들며 북으로는 강원 철원에서부터 중부 및 남부 지방은 물론 서귀포까지 전국 57곳 마을에서 시행됐다. 그리고 올해도 전국 11개 지역에서 프로젝트가 이어진다.

매년 다른 사업지를 선정해온 마을미술프로젝트는 작년에는 서울 성북·강서구, 경기 수원시, 전북 남원시, 전남 화순군 등 전국 11곳에서 진행됐다.

그중에서도 부산 사하구 감천문화마을과 제주 서귀포 유토피아로는 공공미술의 모범사례로 꼽힌다.

천마산 아래 반달고개를 따라 손바닥만한 집들이 다닥다닥 붙어있는 감천문화마을은 6·25전쟁 후 피란민의 집단거주지였다. 따라서 우중충한 잿빛 마을이었다. 그러나 이 낙후된 마을은 2009년 예술을 만나 빠르게 변모해갔다. 마을 곳곳에 아름다운 벽화와 조형물이 자리잡았으며 '미로미로 골목길 프로젝트' '산복도로 르네상스' 등이 시행되며 전혀 다른 도시로 탈바꿈했다.

부산 사하구 감천동 주택가 낡은 담벼락에 작가 진영섭이 주민들과 함께 만든 벽화. 오색의 나무조각을 이어붙이니 골목을 누비는 물고기가 됐다.

낡은 옛 목욕탕은 마을 주민을 위한 '감내어울터'로 변신해 도자기 제작 체험, 미술전시 등이 열리고 있다. 곳곳에 아트카페와 갤러리가 생겨나면서 일본 유엔해비타트 후쿠오카본부에서 선정한 '아시아도시경관상'도 수상했다. 이에 고무된 마을 주민들은 화사한 색으로 집을 칠하며 호응하고 있다. 관광객이 늘자 골목길엔 쓰레기가 자취를 감췄다.

제주 서귀포는 '유토피아로(遊土彼我路)'라는 주제로 '행복'을 추구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유토피아로는 숲·집·길·바다 등 4개의 소주제로 나눠진 구역에서 예술작품을 감상하며 숲과 집을 오가고, 바다를 음미하도록 한 4.3㎞의 길이다. 제주에서 신혼여행을 즐겼던 커플들의 옛 사진을 모아, 지금은 문을 닫은 사진관에 새로운 숨결을 불어넣은 안성희 작가의 '행복한 사진관' 등 무릎을 치게 하는 작업 등 모두 40점이 넘는 프로젝트가 마무리됐다.

작업들은 제주 특유의 자연환경과 삶을 다룬 작품들이 많다. 박건주의 '흰 파도 검은 바위'는 제주의 검은 현무암과 색유리로 제주 바다를 장중하게 표현한 70m 길이의 벽화다. 한국전쟁 때 서귀포로 피란온 국민화가 이중섭(1916~56)의 작업장면을 형상화한 대형 조각 등 제주만의 스토리를 살린 작업들도 눈길을 끈다.

납작한 집들이 다닥다닥 붙어 있는 부산 감천마을에 세워진 입체작품. 감천의 정겨운 풍경에 사람의 숨결이 스며들어 세계 각국에서 많은 관광객이 찾고 있다.

또 '고추 먹고 맴맴'이란 유명 동요의 발상지인 충북 음성군에는 동요를 모티프로 한 미술작업이 시행됐고, 전남 화순군 남산 토성 아래 자리잡은 성안마을에는 성(城)을 테마로 한 작업들이 자리잡았다.

타 지역인들은 미처 몰랐던 이야기들이 벽화, 설치미술, 조각 등으로 화려하게 꽃피우며 그 지역은 그야말로 '지붕 없는 미술관'이 되고 있다. 지역민의 생활공간을 공공미술로 가꾸는 마을미술프로젝트는 일차적으로는 낙후된 문화 소외지역에 예술의 향기를 불어넣어 문화 향수권을 신장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 청년작가들에게 일할 기회를 제공하고, 버려진 마을을 소생ㆍ치유하는 목적도 있다. 또 작가와 지역 주민들이 교감을 통해 공공미술의 의미를 구현한다는 점에서 눈길을 끈다.

추진위 김해곤 총감독은 "부산 사하구의 감천문화마을, 경북 영천의 별별 미술마을, 서귀포의 '유토피아로'를 잇는 '아트투어'를 추진 중"이라며 "마을미술에서 이끌어낼 수 있는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개발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이 사업의 성공사례가 올해부터 초ㆍ중등 교과서에 실렸다"고 했다.

동요 '고추 먹고 맴맴'의 발상지인 충북 음성의 동요마을 곳곳을 안내하는 예술지도. 작가 조구희가 폐타일과 나무조각으로 만들었다.

▶공공미술로서 과제 또한 많아

=마을미술 프로젝트를 통해 쇠락했던 지역들이 활기를 띠는 것은 고무적인 일이다. 현대미술과 전통의 은근한 조화, 지역주민과 미술의 소통은 마을을 찾는 이들에게도 예술적 포만감을 안겨준다.

그러나 긍정적인 측면과 함께 미흡한 측면도 드러나고 있다. 지역별로 엇비슷한 벽화들과 다소 유치한 조형물이 양산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그것이다.

이에 독일 중부의 작은 도시 뮌스터의 사례가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전쟁으로 폐허가 된 도시를 살리기 위해 뮌스터 시는 1977년부터 10년에 한 차례씩 세계 정상의 조각가를 초청해 '뮌스터 조각프로젝트'를 열고 있다. 그 결과 가장 아름답고 멋진 공공조각을 보유한 도시로 발돋움했다. 지난 2007년 프로젝트에는 전 세계에서 65만명이 다녀갔을 정도다. 이는 장소적 특수성을 살린 예술을 매우 신중하게 엄선해 선보였기 때문이다. 우리도 예술과 도시가 상호밀접한 연관성을 주고받을 수 있도록 보다 긴 호흡으로 접근하는 게 필요하다. 완성도가 떨어지는 작품은 장기적 관점에서는 '또 다른 공해'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여러 청년작가에게 일할 기회를 준다는 취지 때문에 적은 예산을 쪼개다 보니 개개 작품의 질이 떨어질 수 있다. 제주지역을 돌아본 유우숙 재독 미술사가는 "인상적인 작업도 있었지만 전체적으로 주제및 작가 선정이며 작품 제작의 호흡이 짧은 듯해 아쉬웠다. 보다 심도 있고 전문화된 프로젝트가 나와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영란 선임기자/yrlee@heraldcorp.com- 헤럴드 생생뉴스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