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가구 44%는 지난해 3천만원도 못 벌었다

2012. 12. 21. 12:02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인 가구의 절반가량은 1천만원에도 못 미쳐

1인 가구의 절반가량은 1천만원에도 못 미쳐

(서울=연합뉴스) 정준영 기자 = 지난해 전체 가구소득의 절반가량을 소득 상위 20%가 점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간 소득이 3천만원 미만인 가구가 전체의 40%를 넘었고 1인 가구의 절반 가까이는 1천만원도 못 벌었다.

소득상위 20%의 교육비 지출액은 하위 20%의 28배나 됐다.

◇가구소득의 절반가량을 상위20%가 점유…5분위가 1분위의 13배

21일 통계청ㆍ금융감독원ㆍ한국은행의 2012년 가계금융ㆍ복지조사 결과를 보면 지난해 평균 가구소득은 4천233만원이다. 이 중 근로소득이 전체의 62.4%, 사업소득이 26.9%, 재산소득이 4.4%를 차지했다.

가구주의 성별로는 남자(4천827만원)가 여자(2천143만원)의 2.3배였다. 연령별로는 40대(5천395만원), 50대(5천150만원), 30대(4천595만원), 30세미만(2천896만원), 60세이상(2천340만원) 순이었다.

가구주의 종사상 지위로 보면 상용근로자(5천525만원), 자영업자(5천7만원), 임시ㆍ일용근로자(2천392만원) 순으로 많았다.

가구원 수가 많을수록, 순자산 분위가 높을수록 각각 소득도 증가했다.

소득 분위별로 보면 상위 20%인 5분위(1억65만원)가 하위 20%인 1분위(758만원)의 13배였다. 2분위가 1천988만원, 3분위 3천330만원, 4분위는 5천21만원이다.

소득점유율은 5분위 47.6%, 4분위 23.7%, 3분위 15.7%, 2분위 9.4%, 1분위 3.6%였다. 전체 가구소득이 100이라면 그 중 50 가까이가 상위 20%에 귀속됐다는 의미다.

소득 가운데 기초노령연금 같은 정부 지원에 따른 공적 이전소득은 평균 179만원이며, 1분위와 2분위가 각각 218만원, 185만원으로 상대적으로 많았다.

연령대별로는 60세 이상 5분위(1억359만원)가, 종사상 지위별로는 자영업자 5분위(1억1천392만원)의 소득이 가장 높았다.

노인가구의 소득은 모든 분위가 해당 분위의 평균에 못 미쳤다.

소득구간별로 보니 3천만원 미만인 가구가 전체의 44%에 달했다. 1천만~3천만원(30.0%), 3천만~5천만원(25.2%), 5천만~7천만원(14.4%), 1천만원 미만(14.2%), 1억원 이상(6.5%) 순으로 많았다.

가구원수별로는 1인가구 중에서는 1천만원 미만(48.7%)이 가장 많았고 1천만~3천만원(34.7%)이 뒤를 이어 3천만원 미만이 83%나 됐다.

가구유형별로 1천만원 미만 소득의 비중을 보면 모든 가구원이 65세 이상인 노인가구가 61.4%나 됐고 장애인가구(32.4%), 조손가구(31.8%)도 30%를 넘었다.

◇평소취업자 개인소득 3천만원 미만이 60% 넘어

`평소취업자'의 평균 개인소득은 2천826만원이며 자영업자(3천515만원), 상용근로자(3천488만원), 임시ㆍ일용근로자(1천203만원) 순이었다. 평소 취업자는 1년간 취업 개월과 구직 개월의 합이 6개월 이상인 자 중 취업 개월이 구직 개월보다 긴 사람을 말한다.

연령별 개인소득은 40대(3천601만원), 30대(3천52만원), 50대(2천940만원) 순이다. 30대와 40대는 자영업자가, 50대는 상용근로자가 각각 가장 많았다.

직업별로는 관리자ㆍ전문가(4천93만원), 사무종사자(3천462만원), 기능ㆍ기계조작종사자(2천905만원) 순이다. 남녀 모두 관리자ㆍ전문가의 개인소득이 가장 높았으나, 남자(5천250만원)는 여자(2천550만원)의 갑절이 넘었다.

개인소득의 분포를 봤더니 3천만원 미만이 60%를 넘었다. 1천만~2천만원(25.0%), 1천만원 미만(20.5%), 2천만~3천만원(18.0%), 3천만~4천만원(13.3%),5천만~7천만원(8.9%), 4천만~5천만원(7.9%), 7천만원이상(6.5%) 순이었다.

◇소득 상위 20% 교육비 지출이 하위 20%의 28배

지난해 가구당 평균 가계지출은 3천69만원이며 이 가운데 소비지출은 2천311만원(75.3%), 비소비지출은 758만원(24.7%)이었다.

소비지출은 식료품 643만원(27.8%), 교육비 348만원(15.1%), 주거비 293만원(12.7%) 순이다. 연령대별로 식료품비 다음으로 소비지출 비중이 큰 항목은 40대는 교육비(687만원, 23.0%), 60세 이상은 의료비(142만원, 10.6%)였다.

소득 5분위별로 1~3분위는 식료품, 주거비 지출이, 4~5분위는 식료품, 교육비 지출이 높았다. 교육비 지출액은 5분위(868만원)가 1분위(31만원)의 28배에 육박했다.

비소비지출을 내역별로 보면 공적연금ㆍ사회보험료 237만원(31.3%), 세금 190만원(25.1%), 이자비용 180만원(23.7%) 등의 순이었다.

50대 이하는 공적연금ㆍ사회보험료 지출이, 60세 이상은 이자비용이 각각 최대 비중을 차지했다. 이자 지출액은 40대(243만원)와 50대(241만원)에서 240만원을 넘었고 공적연금ㆍ사회보험료는 40대(314만원)과 50대(303만원), 20대(294만원)가 모두 300만원 안팎을 냈다.

취업자가 없는 가구는 이자비용(34.1%) 지출 비중이 높았다.

소득 5분위별로 보면 1~4분위는 공적연금ㆍ사회보험료 비중이, 5분위는 세금 비중이 높았다. 세금은 5분위(645만원)가 1분위(13만원)의 50배에 달했다. 이자비용도 5분위(447만원)가 1분위(24만원)의 19배에 육박했다.

1년 후 소득이 늘어날 것으로 본 가구는 35.5%였다. 이에 반해 변화가 없거나(51.9%) 감소(12.6%)할 것이라는 답이 60%를 넘었다.

1년 후 지출이 늘어날 것이라는 가구는 53.2%로 변화가 없거나(39.4%) 감소(7.4%)할 것이라는 예상보다 많았다.

prince@yna.co.kr

<朴당선인, YS에 전화 "지지 감사..열심히 일하겠다">

박인수·김준·이경우, 22년 만의 합동 공연

美공화 '플랜B' 표결…민주 "즉시 폐기"(종합)

<기성용 '선두 맨유의 공세를 저지하라!'>

내년 대학등록금 인상률 상한 올해보다 억제…4.7%로(종합)

<연합뉴스 모바일앱 다운받기>

<포토 매거진>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