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정스님 입적] 사리도 찾지 말고.. 탑도 세우지 마라.. '무소유' 가르침

2010. 3. 12. 02:42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신문] "사리를 찾으려 하지 말며, 탑도 세우지 말라. 번거롭고, 부질없으며, 많은 사람들에게 수고만 끼치는 일체의 장례의식도 행하지 말라. 내가 죽을 때는 가진 것이 없으므로 무엇을 누구에게 전한다는 번거로운 일도 없을 것이다." 11일 입적한 법정 스님이 오래전 써놓은 '미리 쓰는 유서'의 한 토막이다. 그가 평생 지녀온 무소유 행보는 사람들에게 감당할 수 없을 만큼 큰 가르침을 남겼다. 스님은 스스로 깨친 가르침을 평생 어기지 않으려 했던 단정한 구도자의 표본이자 그 정신을 통해 세상과 소통하려 했던 위대한 스승이었다.

●대학 때 삶의 본질 의문에 출가 결심

1932년 전남 해남에서 태어난 스님은 전남대 상과대를 다니던 1954년 홀연히 출가를 결심한다. 한국전쟁의 비극을 몸소 경험하면서 인간의 삶과 죽음, 존재의 본질에 대한 근원적인 의문이 들었기 때문이었다. 스님은 경남 통영 미래사로 입산, 다음해인 1956년 전남 순천 송광사에서 대한불교조계종 초대 종정 효봉 스님 문하로 출가한다. 28세에 경남 양산 통도사에서 구족계(具足戒·정식 승려가 지켜야 할 계율)를 받고 송광사, 해인사, 쌍계사 등에서 안거 수행을 한다.

1960년부터는 서울 삼성동 봉은사에서 동국역경원 초대원장인 운허(1892~1980) 스님과 더불어 '불교사전' 편찬 작업을 시작한다. 이후 '한글대장경' 역경(譯經)위원, 동국역경원 역경위원, 불교신문 역경국장을 거치며 경전 한글화 분야에서도 뚜렷한 족적을 남기게 된다. 그가 번역한 서산대사의 불교개론인 '선가귀감(禪家鑑)'('깨달음의 거울'로 번역)을 비롯, '숫타니파타', '불타 석가모니', '진리의 말씀(법구경)', '신역 화엄경' 등은 지금도 국내 역경 사업의 주요 업적으로 평가된다.

●스님들이 뽑은 '닮고 싶은 생존스님' 1위

스님이 본격적으로 '세상과 소통하는 수행자의 길'을 걷게 된 것은 함석헌, 장준하, 김동길 등 1970년대 당시 민주화 인사들을 만나면서부터다. 스님은 이들과 함께 잡지 '씨알의 소리'를 발행하고 민주수호국민협의회를 결성하며 민주화 운동에 참여했다.

그러다 1975년 송광사 뒷산에 불일암이라는 이름의 작은 암자를 짓고 홀연히 수행승의 자리로 다시 돌아간다. 세상에 허명(虛名)이 너무 많이 알려졌다는 이유에서였다. 그후 스님은 글쓰기에 매진하는 한편 조금씩 써왔던 글들을 책으로 묶어내게 된다. 스님의 대표작 '무소유'(1976년)도 이때 출간됐으며, 이후 나오는 책마다 베스트셀러 반열에 오르며 문명(文名)을 떨치게 된다.

한동안 스님의 보금자리 및 대중들과 만나는 광장이 됐던 서울 성북동 길상사와의 인연은 1996년부터다. 스님은 서울 도심의 요정이었던 대원각을 시주받아 이듬해 이곳에 길상사를 창건하고 회주(會主) 자리를 맡았다. 그 뒤 해마다 개원일(12월14일)에 가까운 일요일이 되면 기념법회를 열어 대중 법문을 해왔다.

●환경보호·생명사랑 운동 실천도

2003년 스님은 "내 스스로가 말이 너무 많았다."면서 길상사 회주 자리마저도 내놓고 강원도 산골 오두막으로 들어가 스스로 땔감을 구하고 밥을 짓는 무소유의 삶을 실천했다. 그러나 최근 건강이 악화돼 병상에 눕기 직전까지도 길상사 대중법문만은 멈추지 않으면서 '세상과 소통하는 수행자의 길'을 꿋꿋이 걸었다.

☞ [포토] "큰 욕심 부리지 말고" 법정 스님 생전 활동 모습

그런 모습에 일반 대중들뿐 아니라 수행자들도 존경심을 나타냈다. 지난해 10월 조계종 불학연구소가 실시한 설문에서 스님은 원효, 성철, 달라이 라마 등에 이어 '스님들이 가장 닮고 싶은 스님' 6위에 뽑혔다. 설문조사 당시 생존해 있던 스님 중에는 1위였다.

그렇다고 스님의 삶이 무소유의 실천과 법문, 글쓰기에만 그친 것은 아니다. 그는 1994년 사단법인 '맑고 향기롭게'를 발족, 환경보호와 생명사랑 운동도 꾸준히 실천했다. 세상을 향한 쓴소리는 입적 직전까지 이어졌다. 1970년대 반독재·민주화 운동은 물론 최근 대운하 사업을 두고는 "생명을 파괴하는 대재앙이자 국토에 대한 무례"라며 강도 높은 비판을 했다.

강병철기자 bckang@seoul.co.kr

[서울신문 다른기사 보러가기] ☞ [UEFA 챔피언스리그] 지성의 칼 날카롭고, 방패 단단했다☞ 세계 최고갑부에 멕시코 통신재벌 슬림☞ 청소년 성매매 출구가 안보인다☞ 루오전 관람객들 감동스토리 잇따라☞ 힘받는 화학적 거세론☞ [오늘의 눈] 복지부 정말 할 일 다했나/백민경 사회부 기자☞ [영화리뷰]대병 소장…컴백 유승준 연기력 '글쎄'☞ 백화점 등 2000만명 개인정보 유출☞ [법정스님 입적] 얼음알보다 청아한 법정스님 영전에-시인 유안진

'맛있는 정보! 신선한 뉴스!' 서울신문( www.seoul.co.kr)[ ☞ 서울신문 구독신청] [ ☞ 서울신문 뉴스, 이제 아이폰에서 보세요]- Copyrights ⓒ서울신문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