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봉 7천 받고 파업한다는데.. 최중경 장관 유성기업 노조 공격 '갸웃'
유성기업의 직장폐쇄로 국내 완성차 업체들이 생산에 차질을 빚자 최중경 지식경제부 장관은 23일 "연봉 7000만원을 받는 회사가 파업을 하면 국민들이 납득할 수 있겠느냐"고 말했다. 노동계에서는 "임금을 많이 받고 적게 받는 게 파업과 무슨 상관있느냐"며 반발하고 있다.
유성기업의 급여가 처음 언급된 것은 22일 현대·기아자동차가 파업 피해상황을 언급하면서 유성기업의 급여를 공개한 게 발단이다. 이 자료에는 유성기업 생산·관리직 평균 임금은 각각 7015만원과 6192만원으로 돼 있다. 자동차공업협회와 한국경영자총연합회가 이 자료를 인용해 유성기업의 파업을 공격했다.
그렇다면 이 회사 근로자들의 실제 급여는 얼마나 될까.
유성기업이 지난해 말 금융감독원에 제출한 감사보고서에는 직원(생산+관리직) 평균 급여가 5710만9000원으로 나와 있다.
그러나 2조 맞교대로 근무하는 자동차 부품 회사의 특성상 유성기업의 급여는 일반 회사와는 큰 차이가 있다.
유성기업 노조 관계자는 "기본급보다는 심야근무에다 잔업·휴일특근으로 받는 수당이 많다"면서 "근로자들의 평균 재직 기간이 16년이 넘는 점을 감안하면 실제와 달리 부풀려져 있다"고 말했다.
노조에 따르면 지난해 8월 기준 월 평균 임금은 449만2007원으로 1년으로 환산할 경우 5390만4084원이다. 이 중 기본급은 171만9978만원으로 전체 임금의 38.3%에 불과하다. 연봉으로 따지면 2000만원을 약간 웃도는 액수다.
반면 잔업·특근에 따른 초과근무 수당은 89만1485만원으로 전체 임금의 19.8%에 달한다. 1년으로 따지면 1069만7820원이다. 기본급은 급여의 40%에 불과한 반면 잔업·특근·야근 수당이 20%에 달하는 구조다. 야간작업에 따른 피로 누적과 안전사고 위험 때문에 심야근무를 없애는 연속 2교대 근무제 도입을 추진 중인 것도 이 같은 배경에서다.
<김준기 기자>
경향신문 '오늘의 핫뉴스'
▶ 한나라당 차명진 "고소영 출세하는 세상, 공정사회 백번 외쳐봐도…"
▶ 지하철역 20대女 성추행·폭행… 어떻게 이런
▶ 권양숙 여사, 봉하마을 사저 떠난다… 왜?
▶ 김여진에 "미친X"… 한나라 자문위원 결국 사퇴
▶ 20대 알바, 여친과 결별 "연애도 결혼도 포기"
▶ '다시 뽑고싶은 대통령' 2위 노무현…꼴찌는?
공식 SNS 계정 [경향 트위터][미투데이][페이스북][세상과 경향의 소통 Khross]- ⓒ 경향신문 & 경향닷컴(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경향닷컴은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강경 투쟁 유발 '공격적 직장폐쇄' 논란
- [포토뉴스]유성기업 공권력 투입 강제진압
- 유성기업 사태, 작년 발레오전장 직장폐쇄 때와 유사
- 500명 노조원에 경찰 2500명.. 2시간 만에 유성기업 '상황 끝'
- [단독]경찰 대통령실 압수수색 막은 장본인···수사대상인 ‘정진석·김성훈’이었다
- ‘비상계엄’ 졸업생만 4명인데…파면된 윤석열 “수고했다”는 충암고 총동문회
- [단독]윤석열 파면 7일간 관저서 쓴 수돗물만 228톤···2인 가구 한달 사용량 ‘16배’
- ‘윤석열 파면’ 문형배 헌법재판관 인하대서 ‘법률가의 길’ 특강
- [속보] 지귀연 재판부 촬영 허가…‘피고인 윤석열’ 법정 모습 다음주 공개
- [속보]내년 의대 정원 ‘3058명’ 확정···수업 거부에 결국 ‘증원 철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