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들, 64세까지 일하기 바란다

이영경 기자 2013. 4. 14. 22:33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향후 진로계획 있다 14% 그쳐고령자로 인식하는 나이 70세

한국의 성인들은 70세를 고령자로 꼽고 64세까지 일하고 싶어했지만, 이직·재취업 등 향후의 진로 계획을 갖고 있는 사람은 14%에 불과했다. 이런 추세는 나이가 많을수록 더 심했다.

한국고용정보원이 지난해 10~11월 전국 19~74세 남녀 2000명을 설문조사해 작성한 '성인의 경력개발을 위한 세대별 고용서비스 체계수립 연구보고서'를 보면 한국 성인의 평균 희망노동연령은 63.9세로 나타났다.

희망노동연령은 19~29세 60.8세, 30~38세 61.5세, 39~47세는 62.2세, 48~57세는 63.9세로 나이가 많을수록 높아졌다. 58~64세는 66.7세, 65~74세는 68.4세까지 일하고 싶어했다. 20~30대는 60대 초반을 은퇴 시점으로 생각했지만 50대 후반부터는 65세 이후에도 일하고 싶어했다.

한국 성인이 '고령자'라고 인식하는 나이는 70세로 조사됐다. 고령자 인식도 나이가 많을수록 높아져, 19~29세는 68.6세를 고령자라고 인식했으나 58~64세는 70.8세, 65~74세는 71.8세를 고령자로 봤다.

기대수명이 늘면서 더 오래 일하고 싶어하지만 정작 재취업이나 전·이직 등 은퇴 후 진로에 대해 구체적 계획을 세우고 있는 비율은 14%에 불과했다. 진로 계획이 있다는 비율은 학생이거나 이제 갓 취업한 19~29세에서 34.5%로 가장 높고, 30~38세는 16.3%, 48~57세 12%, 39~47세는 9.6% 순으로 나타났다. 직장 내 은퇴를 앞둔 48~57세에서 진로 계획이 약간 높아졌지만, 고령층인 58~64세는 7.2%, 65~74세는 4.2%만이 향후 계획을 갖고 있었다. 65~74세는 삶의 목표가 있다는 비율도 49.5%에 그쳤다.

맞벌이가 필요하다는 생각은 69.6%에 달했다. 젊은 세대인 19~29세는 81.4%가 맞벌이를 해야 한다고 생각했으며, 65~74세 고령층도 절반가량인 50.2%가 맞벌이가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고용정보원 관계자는 "고령층은 경제적 이유로 재취업을 해야 하는 상황이 많아지고 있다"며 "퇴직 후 재취업을 미리 체계적으로 준비할 수 있도록 다양하고 세분화된 고용서비스 지원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 이영경 기자 samemind@kyunghyang.com >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