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계천에 他수계 물고기 사 넣었다"..서울시, 복원사업 직후 "물길 따라 돌아왔다" 허위 홍보

2010. 5. 23. 20:1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시는 청계천이 생태하천으로 복원된 근거의 하나로 한반도 고유종 민물고기들이 돌아왔다고 홍보해 왔다. 그러나 돌아온 민물고기 가운데 갈겨니 등 상당수 종이 외부에서 유입된 것으로 밝혀졌다.

23일 환경운동연합과 민물고기보전협회 등에 따르면 충남 보령의 민물고기 민간채집 연구가인 조모씨는 전국 각지에서 갈겨니, 참갈겨니, 피라미 등의 민물고기를 잡아 서울시 청계천관리센터에 넘긴 것으로 드러났다. 조씨는 기자와의 전화인터뷰에서 "청계천관리센터가 2006년 4월에 갈겨니와 참갈겨니 50마리, 피라미 100여마리를 가져갔다"고 말했다.

환경운동연합은 기자회견 자료를 통해 서울시가 청계천 복원사업 직후 한강이 아닌 다른 수계에서 잡은 민물고기를 청계천에 방류해 놓고 "이들이 물길을 따라 돌아왔다"고 허위로 홍보했다고 주장했다. 섬진강계 민물고기인 갈겨니가 청계천에 산다는 것은 외부 유입사실을 뒷받침한다.

지난 17일 환경운동연합과 함께 청계천 현장조사에 나선 전북대 김익수 명예교수는 "갈겨니가 청계천에 자연스럽게 서식할 방법은 없다"면서 "인위적 도입종이 적응할 경우 배스 등 외래종 침입과 같다"고 지적했다.

청계천관리센터 측은 "인위적 방사는 하지 않았다"면서 "갈겨니는 현재 (한강수계의) 참갈겨니와 함께 서식환경에 적응한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갈겨니는 눈에 붉은 반점이 있는 섬진강계의 갈겨니와 붉은 반점이 없는 한강계의 참갈겨니로 구분된다. 국립수산과학원 중앙내수면연구소 이완옥 박사는 수계가 다른 종의 방류는 '유전적 오염'이라고 지적했다.

처음 이 문제를 제기한 환경운동가 최병성 목사는 어류학자 사이에서 청계천에 '민물고기를 사다 넣는다'는 것이 공공연한 비밀이라고 말했다. 최 목사는 "지방자치단체가 단체장의 치적을 포장하기 위해 하천복원의 성과를 과장했다"면서 "동물을 학대하고 하천 생태계를 교란하는 엉터리 복원이 더 큰 문제"라고 말했다. 그는 "청계천이 방류된 어류들의 시한부 사형장이 돼 버렸다"고 지적했다.

이 박사는 "청계천의 서식 어류 대부분이 방류된 종이어서 청계천에 적합한지 아직 확인되지 못하고 있다"면서도 "다양한 어류 서식시설을 보강하면서 담수 어류의 개체수와 종수가 안정화되는 상황"이라고 평가했다. 이 박사가 말하는 안정된 종은 버들치, 피라미, 붕어, 참붕어, 잉어, 돌고기 등 비교적 내성이 강한 10개 종 정도다.

서울시는 지난 2월초 보도자료에서 청계천의 어류가 2003년 4종에서 지난해 27종으로 늘어났다고 밝혔다. 각시붕어, 줄납자루, 가시납지리, 참갈겨니, 참종개 등을 합쳐 고유어종 수도 7종으로 늘어났다고 말했다.

그러나 민물고기보전협회 홈페이지에 따르면 2008년 5월에 참종개 5000여마리를 청계천에 방류한 것으로 돼 있다. 반면 서울시의 보도자료에는 '우리나라 고유종인 참종개가 2009년 청계천에서 처음 발견됐다'고 밝히고 있다. 김 교수는 '처음 발견됐다'는 줄납자루와 가시납지리에 대해 "산란할 때 조개가 있어야 한다"면서 "청계천에는 조개가 살 수 있는 조건이 안 된다"고 말했다.

청계천에 어류가 빈약한 것은 '중간 먹이사슬의 부재' 때문이다. 김 교수는 청계천에는 수서곤충이 살기 어렵다고 말했다. 바닥에 자갈과 돌이 없고, 유속이 너무 빠르며, 서식지가 단순한 데다 수서곤충 먹이인 조류(藻類)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김 교수는 "먹이가 충분치 않기 때문에 5~6월 산란철임에도 (안정화된 종을 제외한 다른 물고기의) 정소나 알이 나오지 않는다"고 말했다. 실제로 청계천에서는 등과 꼬리에 상처를 입거나 염증이 생긴 물고기들이 많이 발견됐다.

문제는 인위적 민물고기 방류가 청계천에 그치지 않고 '청계천+20' 프로젝트에서처럼 지방하천에까지 확산되고 있다는 점이다. 민물고기 민간채집가인 조씨는 대학과 연구소뿐 아니라 양재천과 탄천 등 지방하천을 관리하는 지자체에 물고기를 공급하는 게 주업이다. 이 박사는 "기관장들이 자꾸 관심을 가지니까 다양한 종이 있어야 된다고 생각하고 초창기에 많이 풀어 놓는다"면서 "이 경우 생태하천이 아니라 공원하천으로 봐야 한다"고 말했다.

동영상 설명

= 민물고기 채집연구가인 조모씨가 지난 16일 전남 무안군의 한 개천에서 민물고기를 잡고 있다. 조씨는 자신이 잡은 왜몰개, 동자개, 참종개, 송사리 등 9종 3000마리의 민물고기를 지난 12일 경기도 성남시 공무원들과 함께 탄천 둔치 습지에 방류했다. 한국환경기자클럽 제공

임항 환경전문기자 hnglim@kmib.co.kr< goodnewspaper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