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호 깃발 타깃' 삼성·포스코 "아직은.."

강의영 2011. 7. 1. 15:5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복수노조제 시행 첫날 별다른 내부 움직임 없어

(서울=연합뉴스) 강의영 고형규 기자 = 한 기업에 여러 개의 노조를 둘 수 있는 복수노조가 허용된 첫날인 1일 노동계가 '1호 깃발'을 꽂겠다고 천명했던 삼성과 포스코는 일단 안도했다.

하반기 경영 변수의 하나로 꼽았던 노조 또는 복수노조 설립 여부에 대해 이들 사측이 촉각을 곤두세웠지만, 각 계열사나 사업장에 별 움직임이 없었던 것이다.

더욱이 삼성이 견지해온 '무노조' 또는 '비노조' 경영 원칙을 깨려고 노동계 등이 삼성에 상징적으로라도 복수노조제가 시행되는 첫날 노조를 출범시킬 수 있게 총력 지원하겠다고 강한 의지를 보여왔던 터라 삼성 미래전략실과 각 계열사가 바짝 긴장한 것이 사실이었다.

삼성은 78개 계열사 가운데 실제 삼성생명, 삼성증권, 삼성화재, 삼성정밀화학, 삼성중공업, 삼성메디슨, 호텔신라, 에스원 등 8곳에 노조가 있지만, 계열사에 편입되는 과정에서 기존 노조가 유지되고 있거나 노조원이 고작 2명에서 30여명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어쨌거나 삼성의 주력인 전기전자 계열사나 주요 제조업체에는 '무노조 경영' 원칙이 그대로 고수되고 있는 셈이다.

삼성 관계자는 "첫날 상황만으로 뭐라 단정하기는 어렵고 시일이 더 지나봐야 한다"고 판단을 유보하고 "외부에서 노조 설립을 지원한다고 노조가 들어서는 게 아니라 조합비를 내야 하는 직원들의 자발성이 우선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현장 근로자나 사무직원들이 더 나은 근무 환경과 복지 수준, 처우 등을 위해 노조를 설립해야겠다는 필요성을 느껴야 하는데 그동안 이런 부분에서 사측이 복지제도를 확대하고 임직원 간 소통을 늘리는 한편 노사협의회의 기능을 강화하는 등 적극적으로 대응했다는 것이다.

이 관계자는 그러면서도 "노동계 등이 단 두 명으로라도 삼성에 노조 깃발을 꽂는 것보다 실질적인 교섭권과 쟁의권을 가질 수 있게 일정 세력을 규합하는 전략을 짤 수도 있는 만큼 좀 더 기다려봐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포스코는 사내 복수노조 출현 여부를 떠나 건강한 노사관계의 전통을 유지하는 데 총력을 기울인다는 방침이다.

특히 정준양 회장 취임 이후 강화되고 있는 노사간 신뢰와 소통 흐름을 가속화할 계획이다.

회사 측은 임금과 복지 등 근무여건이 다른 기업에 비해 월등하고 임직원 간 다양하고 투명한 소통 채널을 운영하면서 현장 애로사항을 반영해 왔기 때문에 복수 노조가 허용되더라도 대형 노조가 나오기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포스코의 한 관계자는 "또 다른 노조가 생긴다고 한다면, 그것은 기본적으로 직원들의 불만 때문이라고 볼 수 있을 텐데 지금은 그런 분위기는 없다"고 말했다.

포스코에 따르면 이 회사 노조는 1980년대 말 출범했지만 1990년대 들어 과거 노조 지도부의 비리 등으로 조합원 탈퇴가 잇따랐던 데다 노경협의회가 노사 협의 채널로서 강력한 구심력을 발휘하자 지금은 사실상 명맥만 유지하고 있다. 조합원도 13명에 불과하며 한국노총이나 민주노총 등 상급단체에 소속돼 있지 않다.

하지만, 포스코 사측은 노경협의회뿐 아니라 이 노조와도 기본적으로 노사 협상을 동시에 하면서 임단협 등 노사 이슈를 풀어나가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1997년 출범한 노경협의회는 직원들이 직접 선출한 근로자위원과 경영자위원 각각 10명씩 20명과 공장위원 430명으로 구성된다.

keykey@yna.co.kr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포토 매거진>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