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후수단 '전국백신'..인책론 부상
매몰가축 150만마리넘어..매몰.백신비용 눈덩이
부실.무능 방역.."누군가는 책임져야"
(서울=연합뉴스) 이강원 기자 = 지난해 11월28일 경북 안동에서 시작된 구제역이 6개 시.도로 확산되면서 정부가 방역대책의 마지막 수단인 `전국 백신' 카드를 꺼내 들었다.
하지만 13일 현재 구제역으로 인한 살처분.매몰 가축 규모가 3천695농가의 150만623마리에 이를 정도로 피해가 눈덩이처럼 불어난 상황에서 정부의 이번 결정은 `때늦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살처분 보상금 관련 정부지출만 1조5천억원대로 올라선데다 전국백신을 위한 1차 접종비용도 약 1천억원대에 이를 전망이어서 `피해는 피해대로 키우고 방역은 제대로 하지 못했다'는 지적을 면하기 어렵게 됐다.
이에 따라 이번 구제역 사태가 진정되는대로 `누군가는 책임을 져야 한다'는 인책론이 고개를 들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설사 구제역이 진정기미를 보인다 해도 충남과 전북에서 시작된 조류인플루엔자(AI)가 경기 안성까지 북상한데다 충북 진천에서까지 의심신고가 나오고 있어 가축전염병으로 인한 농가의 시름을 지속될 전망이다.
여기에 전국 백신을 위해서는 정부가 이미 확보했거나 구매가 진행중인 1천100만마리분 백신외에 추가로 백신이 필요한 상황이어서 물량 확보까지의 기간에 추가 피해도 예상되고 있다.
지금까지 구제역은 경북.인천.강원.경기.충남북 등 6개 시.도, 52개 시.군, 125곳으로 늘어났다. 접수된 의심신고만도 162건에 달하고 있다.
AI는 지금까지 41건의 의심신고가 나온 가운데 16건은 양성, 부산 강서구의 1건을 포함한 4건은 음성으로 판정됐고, 나머지는 정밀검사중이다.
하지만 지난 12일에만 충북 진천, 전남 영암.여수.무안.나주.해남 등에서 무려 9건의 의심신고가 잇따라 접수되는 등 확산추세를 보이고 있어 당국에 비상이 걸린 상태다.
정부는 AI가 추가로 확산되는 것을 막기 위해 13일부터 27일까지 15일간 재래시장에서 살아있는 닭과 오리의 판매를 금지한다고 밝혔다.
gija007@yna.co.kr
< 뉴스의 새 시대, 연합뉴스 Live >
<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
< 포토 매거진 >
<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야생동물 '3중고'..구제역.폭설.밀렵꾼
- '구제역' 가평.포천 겨울축제 취소..1천억 피해
- 충남 구제역 여파 5일장 폐쇄 잇따라
- 국회 본회의, 가축법 개정안 처리
- 전철역 분실 태블릿 주인 찾아주려다…마약 운반책들 '들통' | 연합뉴스
- 술 마신 채 스쿨존서 시속 102㎞ 난폭운전…2심서 형량 늘어 | 연합뉴스
- "죄책감 갖고 살아" 깨진 병으로 제 손목 그어 전연인 협박 30대 | 연합뉴스
- 산불 피해 대피하다 전복된 트럭서 이웃 구한 부자 | 연합뉴스
- 코인 투자 20대男 개미 '200만 대군'·50대女 억대 보유 눈길 | 연합뉴스
- "탄핵 직전 대통령에 빙의"…웹소설판에 등장한 '계엄물'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