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네르바' 구속적부심 기각 왜?
(서울=연합뉴스) 차대운 기자 = 법원이 15일 `미네르바'로 지목된 박모(31) 씨의 구속적부심 청구를 기각한 것은 구속 때와 비교해볼 때 별다른 사정 변화가 없었다는 판단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서울중앙지법 김용상 영장전담 부장판사는 지난 10일 구속영장을 발부했을 때 "범죄사실에 대한 소명이 있고 외환시장 및 국가신인도에 영향을 미친 사안으로, 사안의 성격 및 중대성에 비춰 구속수사 필요성이 있다"고 사유를 밝혔다.
`정부가 금융기관에 달러 매수 금지 명령 공문을 보냈다'는 등 박 씨의 일부 글이 허위로 인정되고 박 씨가 인터넷상에서 갖고 있던 영향력에 비춰볼 때 외환시장에 큰 악영향을 끼쳐 범죄의 중대성이 크다고 봤던 것이다.
검찰은 영장이 발부되자 기획재정부 관계자의 진술을 토대로 박 씨의 글로 인해 외화보유고에 20억달러의 손실이 있었다고 구체적으로 설명했다.
박 씨는 이날 구속적부심에서 글을 올리기 사흘 전 정부가 은행 외환 책임자들을 불러 달러 매입 자제를 요청한 사실이 구속 이후 새로 밝혀진 만큼 자신의 글이 완전한 허위라고만 볼 수는 없다는 점을 호소했다.
하지만 구속적부심을 맡은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31부는 "박 씨가 사정 변경이라고 주장하는 것들은 영장 발부 당시 이미 밝혀진 내용이거나 구속 적부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 내용에 불과하다"며 박 씨의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영장판사가 영장을 발부했을 때 판단 기준으로 삼았던 기초적인 사실 관계가 크게 바뀌지 않았다는 것이다.
재판부는 아울러 "박 씨가 허위 통신을 하는 등 죄를 범했다고 의심할 만한 상당한 이유가 있다"며 문제가 된 박 씨의 글들이 재판에서도 전기통신기본법에 저촉되는 허위사실임을 인정받을 가능성이 크다고 봤다.
아울러 박 씨가 공익에 해를 끼칠 목적이 없었고, 허위성도 없었다고 한사코 주장하는 점이 오히려 증거인멸 및 도주의 염려를 하게 한다고 판단했다.
법원은 통상적으로 피의자 측에서 유리한 증거를 추가로 내는 등 중요한 사정 변화가 없는 한 구속적부심을 통해 구속 결과를 뒤집는데 보수적 모습을 보여왔기 때문에 이번 적부심 기각은 어느 정도 예상 가능했다는 게 법조계의 대체적인 평이다.
하지만 박 씨에게 적용된 전기통신기본법 47조의 `공익을 해칠 목적'이 개념상 지나치게 포괄적이라는 이유로 헌법소원이 제기된 상태이고, 박 씨 글로 인한 외화보유고 손실액의 정확한 산법을 놓고도 논란이 계속되고 있어 그가 기소되면 공판에서 치열한 법적 공방이 벌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setuzi@yna.co.kr < 긴급속보 SMS 신청 >< 포토 매거진 >< 스포츠뉴스는 M-SPORTS ><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네티즌, '미네르바 구속 적법' 찬반 들끓어>
- <여야, '미네르바' 법원결정 엇갈린 반응>
- 법원 "'미네르바' 구속 타당"(종합)
- 김수현 "故김새론 미성년자 때 교제 안해…수사기관 통해 검증"(종합2보) | 연합뉴스
- 경찰, '故 김새론 명예훼손' 유튜버 수사…유족에 접근금지도 | 연합뉴스
- 장제원 고소인측, 경찰에 동영상 등 증거제출…내일 기자회견(종합2보) | 연합뉴스
- '창원 NC파크 구조물 추락사고' 머리 다친 20대 관중 끝내 숨져 | 연합뉴스
- 임영웅, 산불 성금 4억원 기부…뷔 "군에서 접한 뉴스 마음쓰여" | 연합뉴스
- [삶] "서양 양아빠, 한국자매 6년간 성폭행…일부러 뚱뚱해진 소녀" | 연합뉴스
- 경쟁관계 이웃 청과물 가게 사장 흉기 살해한 40대 구속기소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