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정부 4년간 사교육시장 급팽창
사교육 열풍 속에 하루에 8개꼴로 입시준비 학원이 생겨나고 있다. 특히 집값과 사교육만은 반드시 잡겠다고 공언한 참여정부 들어 입시·보습학원이 1만2000여개나 증가, 사교육시장이 크게 팽창한 것으로 드러났다.
23일 교육인적자원부의 전국 학원 증감 현황에 따르면 전국 입시·보습학원 수는 작년 말 2만9005개에 달했다. 학원수가 매년 3000개 정도씩 늘어나는 점을 감안하면 올 상반기 중 3만개를 돌파할 것으로 관측된다.
입시·보습학원은 참여정부 출범 전인 2002년 말 1만6695개에서 ▲2003년 말 1만9398개 ▲2004년 말 2만2374개 ▲2005년 말 2만6102개로 매년 10%를 넘는 증가세를 보였다. 현정부 출범 이후 4년 동안에만 1만2310개가 늘어 73.7%의 증가율을 나타냈다. 매일 8.4꼴로 입시·보습학원이 생겨난 셈이다.
이는 교육부가 최근 특수목적고 신입생을 중학교 내신 위주로 뽑기로 하는 등 연례행사처럼 사교육 경감대책을 쏟아내고 있지만 학부모들의 교육열은 오히려 가열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특히 입시학원은 저출산으로 학생수가 준데도 불구하고 가파른 증가세를 지속했다. 전국의 초·중·고교 학생 수는 2005년 말 779만6400명에서 지난해 말 777만6211명으로 2만189명이 줄었으나 학원은 1년 새 2903개나 증가했다.
지역별로는 입시·보습학원 인구가 가장 많은 경기도가 6533개로 수위를 차지했고 서울이 6466개로 뒤를 이었다.
이처럼 학원이 늘면서 학생수에 비해 학원이 너무 많은 현상을 보이고 있다. 학원 밀집도는 2002년 말 학생 466명당 1개꼴이었으나 지난해 말 270명당 1개꼴이었다.
지역별로는 광주가 169명으로 가장 심한 과밀현상을 보였고 ▲서울 220명 ▲울산 231명 ▲전북 254명 순이었다. 대구는 344명으로 학생수에 비해 학원이 가장 적었다.
이처럼 입시·보습학원이 급증한 것은 대입에서 논술비중이 높아지면서 논술학원이 많이 생겨난 데다 공교육이 제구실을 하지 못해 학원을 찾는 학생이 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한 교육 전문가는 "최근 주요 대학이 2008학년도 입시부터 수능 우선 선발 비중을 확대함에 따라 입시·보습학원을 찾는 학생이 더욱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황계식 기자 cult@segye.com
ⓒ 세계일보&세계닷컴(www.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세계닷컴은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55세에 손녀 같은 막내딸까지 얻었는데…이혼설 터진 신현준, 진실은?
- “운동 다녀올게” 집 나선 40대女 참변…30대男 “너무 힘들어서”
- ‘78세’ 김용건, 붕어빵 늦둥이 아들 공개? “역시 피는 못 속여”
- “돈독 올랐다” 욕먹은 장윤정, ‘진짜 돈독’ 오른 사정 있었다
- “내 콩팥 떼어주면 돼” 언니에게 선뜻 신장 내어준 동생
- “개보다 못해” 아내에 피살된 유명 강사…백종원 피고발 [금주의 사건사고]
- 누군지 맞히셨어요?…아기 때 얼굴 전혀 없다는 유명 방송인
- “이제 10억으론 어림도 없어요”
- “한국인 45만명 사라졌다”…무슨 일이?
- "남자한테 참 안 좋은데~"… 우리도 모르게 섭취하고 있는 '이것' [수민이가 궁금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