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수용소서 28년 김혜숙씨 "마을 전체 전기 철조망..뚫린 곳은 하늘뿐"

2011. 4. 20. 05:03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신문]"'자유'라는 말은 남한에서 처음 들었다." 북한 정치범 수용소인 평안남도 북창군 봉창리 제18호 관리소에서 28년간 수용생활을 했던 김혜숙(49·가명)씨는 "행동과 생각까지 어느 하나 자유가 없었던 북한의 실상을 토로하고 싶다."고 말했다. 그에 따르면 수용소는 겉보기에 평범한 마을같지만 전기 철조망으로 둘러싸여 뚫린 곳이라고는 하늘뿐이었다. 그는 "보위부보다 더 무서웠던 것은 배고픔과 주민 간의 불신이었다."고 털어놓았다. 우리나라 정보기관이 인정한 최장기 정치범 수용소 수감자인 김씨가 19일 서울 중구 국가인권위원회 북한인권침해 신고센터를 찾아 북한 당국과 통일부 장관, 외교통상부 장관 등을 상대로 북한 정치범수용소의 인권침해 실상을 고발하는 진정서를 제출했다. 개인 자격으로 신고센터에 진정을 제기한 것은 김씨가 처음이다. 다음은 일문일답.

●관리소 들어가서 처음 본 게 공개총살

→ 정치범 수용소는 어떤 곳인가.

-내가 있던 곳은 평안남도 북창군에 있는 '봉창리 제18호 관리소'였다. 평양에서 180리쯤 들어간 산골이다. 정치범 수용소라는 이름은 남한에 와서 알았다. 북한에서는 수용소를 14호 관리소, 18호 관리소 이런 식으로 부르고, 그곳에 사는 사람들은 이주민이라고 한다. 18호 관리소에만 2만명 정도의 주민들이 있었다. 그 중에 보위부 사람, 병사들, 관리원, 당 사람들 빼고 나면 1만 7000여명 정도가 이주민이었다.

→수용소 하면 감옥이 연상되는데 실제로 그런가.

-관리소는 산골짜기에 있는 마을로, 18호 관리소는 끝에서 끝까지 100리 정도 된다. 마을 주변을 전기가 통하는 철조망으로 둘러싸서 뚫린 곳은 하늘뿐이다.

→13살 때부터 수용소 생활을 했는데….

-1975년 우리 5남매와 아버지, 어머니, 할머니까지 전부 수용소에 들어갔다. 할아버지가 월남했다는 이유 때문이었다. 나는 할아버지 얼굴 한번 본 적 없다. 할머니도 할아버지가 안 돌아오길래 집 나간 줄만 알았지 남조선으로 갔다는 건 알지 못했다.

→28년 만에 수용소를 나오게 된 것은 어떤 계기 때문인가.

-13살 때 관리소로 들어갔는데 그 안에서 부모님도 다 죽고 없으니 나와야겠다고 생각했다(김씨의 아버지는 관리소로 온 직후 보위부에 끌려 갔고, 어머니는 농장일을 하다 1979년 수용소에서 사망했다). 10년 넘게 토끼, 닭, 돼지를 길러서 당 일꾼들에게 바치고 '모범일꾼' 평가를 받아 2002년 2월 16일 해제받았다.

→수용소에 처음 가서 받은 인상은.

-거기서 처음 본 게 공개 총살이었다. 사람 매달아 놓고 총으로 쏴 죽인 뒤 시체를 가마니에 둘둘 말아서 실어 갔다. 개 죽은 걸 보는 것 같았다. 그 다음에는 가슴이 계속 할랑대고 공포감에 질려 견디기가 어려웠다.

→수용소 생활 중 가장 힘들었던 일은.

-굶는 게 얼마나 어려운지 그때 알았다. 배급이란 게 강냉이만 주는데 턱없이 부족했다. 일곱 식구가 한달에 7.5~8㎏을 받았으니…. 강냉이도 다 젖은 걸 줘 놔서 말려놓으면 절반으로 줄곤 했다. 그러니 아이들은 파랗다는 건 모두 뜯어먹고, 한달에 딱 하루 쉬는 날에는 온 가족이 입산증을 받아 산에 가서 도토리나무 잎을 뜯어다 먹곤 했다.

●배고픔보다 무서운 건 주민끼리 감시

→열악한 상황에서 도망칠 생각은 못했는가.

-관리소 주위 철조망에는 전기가 흐르는데 멀리서도 '징~' 하고 전기 흐르는 소리가 들렸다. 안전원들이 순회하면서 철조망 주위에서 발자국이라도 보이는 날에는 바로 색출해서 총살한다. 28년을 살면서 도주하는 사람은 못 봤다.

→배고픔보다 더 두려운 것은 없었나.

-주민들끼리 서로 경계하는 것이다. 3세대를 한 조로 묶어 서로 감시하게 했는데, 서로 말하는 걸 듣고 쪽지에 적어서 한달에 한번씩 담당 지도원 방에 넣어 줘야 했다. '어떤 동무가 몇날 며칠에 무슨 말을 했다.'고 아주 자세하게 적어야 한다. 그저 입을 꼭 다물고 생활해야 했다.

→노동생활은 어땠는가.

-학교 졸업하면 공부를 잘했든 못했든 무조건 탄광일을 해야 했다. 남자들은 돌 깨고, 여자들은 석탄 캐고…, 마흔 살만 넘으면 진폐증으로 쓰러져들 나갔다. 나도 열 일곱살 때부터 탄광에서 일했는데, 얼굴 한번 제대로 씻어본 적이 없었다. 하루 8시간 노동제인데, 말이 8시간이지 막장에서 나와 또 산에 가서 나무 해다가 막장에 들여놓고 하다 보면 16시간이 훌쩍 갔다.

→그래도 수용소 안에서 결혼도 하고 자녀도 뒀는데….

-결혼이라고 자유는 아니다. 남자는 30살, 여자는 28살이 되어야 결혼할 수 있고, 그것도 일을 잘해야지만 승인을 해줬다. 초급당, 보위부, 관리과장, 행정부서장 이렇게 단계를 거쳐서 승인을 받아야 결혼할 수 있고, '누구누구는 일 잘했으니 결혼 승인해준다.' 이런 식으로 공표한다(김씨의 남편은 2001년 4월 탄광에서 얼어 죽었고, 2명의 자녀는 수용소를 나온 뒤 2003년 수해 때 사망했다).

→인권과 자유가 뭐라고 생각하는가.

-근 30년 동안 '불복종하면 죽인다.'는 말만 듣고 살다가 자유란 말을 남한에 와서 처음 들었다. 자유란 내가 제주도 가고 싶으면 가고, 강릉 가고 싶으면 가는 것 아니겠는가.

글 윤샘이나기자 sam@seoul.co.kr

사진 류재림기자 jawoolim@seoul.co.kr

[서울신문 다른기사 보러가기] ☞ [공무원 변신은 무죄] 김태동 전 청와대 경제수석 연극 '택시 택시' 시민배우 되다☞ 사이버사령부 병력 두배 늘린다☞ 檢 "삭제명령어 한달전 심었다"☞ 동해~日 크루즈 여행비가 9900원?☞ 이인수 박사 묘역참배 불발… '4·19 화해' 없었다☞ 연예인 되고픈 그대, 아카데미로 오라☞ 원전주민 왕따 시키는 日☞ 주식시장 아이돌 대전☞ [美 신용등급전망 하향 파장] '美 신용등급' 中에 달렸다

2011 신묘년 토끼해 운세와 토정비결 미리미리 확인하세요

관심종목에 대한 증권 전문가의 상세한 진단과 분석 서비스

'맛있는 정보! 신선한 뉴스!' 서울신문( www.seoul.co.kr) [ 신문 구독신청]

- Copyrights ⓒ서울신문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