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처분 매몰지 침출수 '줄줄'..식수원 위협

황현도 2016. 8. 23. 14:03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천지역, 매몰 5년 경과..가축 사체 미부숙 / 토양 오염·일부 한강 유입..정부 발표와 달라

정부는 2011년 사상 최악의 구제역 사태로 인해 소, 돼지 등 가축들이 살처분된 매몰지 관리에 대해 지난 7월 전국 매몰지와 신형 사체 저장방식의 저장조는 모두 안전하다고 밝혔으나 사실과 다른 것으로 드러났다.

정부가 3년이면 매몰 사체가 완전 부숙될 것이라고 예상한 사체들이 매몰 6년차에 접어든 현재에도 부숙되지 않은 채 여전히 유출수로 인해 지하수와 토양 오염이 이뤄지고 있는 것이 본지 취재결과 확인됐으며 정부의 발표와는 다르게 매몰지 관리가 허술하게 관리되고 있어 심각한 환경오염을 일으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 이천시 송갈리 385-2번지 논 위에 조성된 가축 매몰지에서 중장비로 사체들을 파내고 있다.

2010~2011년 당시 조성된 구제역 및 AI로 인한 가축 살처분 매몰지는 전국에 4779개소로 절반에 해당하는 2247매몰지가 경기도에 집중돼 있고 그중 상수원 보호구역과 인접한 이천시에 전국에서 가장 많은 376개의 매몰지가 조성돼 있다.

이천시 살처분 매몰지 주변에 지하수 오염과 하천이 오염된 곳은 상수원 보호구역이거나 인근 지역으로써 서울과 수도권 시민의 식수원이 위협하고 있는 상황이다.

호법면 송갈리 매몰지의 경우 개장한 결과 빗물 등에 의한 오염 침출수는 주변 토양을 오염시키고 농수로로 유입되고 있음이 육안으로 확인됐으며 농수로는 남한강 상류의 지천인 복하천으로 유입돼 수도권 상수원인 남한강을 오염시킬 수 있어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또 이천을 상징하는 한 온천 리조트 주변에 수십여 개의 구제역 매몰지가 방치되어 있어 관광산업에 종사하는 지역민의 고민을 가중되고 있으며 이천 특산물인 쌀과 함께 이천시 산업기반의 위협요인이 되고 있다.

정부는 오염 침출수로 인한 토양과 지하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2012년부터 FRP 탱크에 살처분 가축 사체를 저장하는 저장방식으로 처리방법을 바꿨다.

이러한 신형 저장 방식을 적용해 정부는 더 이상 토양과 지하수 오염의 우려가 없다고 하지만 문제는 밀폐된 공간에 수십에서 수백 마리의 가축을 저장하다 보니 가축 사체로부터 고농축 침출수가 발생하며 내부 사체가 ‘미이라’화 되어 매몰 방식보다 더 심각한 문제를 야기시키고 있다.

수의학계 전문가들은 “좁은 공간에 여러 마리의 사체를 저장하면 부패된 혈액, 위산, 장기 내 잔존 분뇨 등이 고농도로 집적된 고농도 유출수가 발생해 향후 어떤 악영향을 미칠지 예측할 수 조자 없다”는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

문제는 매몰지 저장조가 파손돼 고농도의 오염 유출수가 토양과 지하수를 오염시켜도 이천시가 상황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천시에 거주하는 신모씨는 “저장조 파손 사실을 이천시에 제보했는데 시에서 파손 사실이 알려지지 않게 해달라는 말만 하며 단 한 번도 현장 방문을 하지 않고 아무런 후속조치를 하지 않았다”며 “오히려 안전을 위해 자비를 들여 하우스를 설치하고 우천에 대비한 배수로까지 설치했다”며 분통을 터트렸다.

또 민원인이 빠른 조치를 요구하자 “매몰지에서 농사지으면 작물이 잘 자라고 그 작물을 먹어도 안 죽는데 뭐가 문제냐며 황당한 답변을 했다”고 주장했다.

현재 전국에서 가장 많은 매몰지를 보유한 이천시의 경우 지난 달 민원이 발생한 매몰지 복원에 필요한 재원의 50%에 해당하는 특별교부금 5억5000만 원이 배정된 상태다.

그러나 이천시는 예산 배정이 됐음에도 불구하고 담당 공무원 인사이동과 처리 방법에 대한 기술적 검토가 가능한 인력이 없다는 이유로 처리까지는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입장만 되풀이한 채 늑장대응을 하고 있다는 지적 속에 시민들만 속이 타들어 가고 있다.

이천시민들은 사태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지금부터라도 관내 매몰지와 저장조 소멸을 위한 대책 수립과 처리등 철저한 사후관리를 해야 하며 정부도 매몰지에서 확인된 문제가 이천시 한 곳에 국한된 문제가 아니라 같은 방식으로 매몰된 국내 모든 매몰지가 유사한 상황이라는 것을 인식하고 정확한 실태조사를 거쳐 환경오염피해에 적극 대처해 줄 것으로 바라고 있다.

전문가들은 “우천으로 인한 오염된 유출수는 시간이 지나면서 지하에 흐르는 모든 지하수를 오염시켜 결국 오염지역이 점차 확산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들은 또 “현존하는 매몰지와 저장조를 미생물 발효, 소각, 렌더링 등의 공법으로 소멸시키는 것이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과거에 제정된 규제로 인해 3년간은 손을 댈 수 없다는 원칙을 고수하며 매몰지와 저장조를 유지하는 이유를 이해할 수 없다”며 “정부가 규제를 풀어 적극적인 대응을 해야 할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목진환 시민기자 leepr21@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