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약까지 바꿔 '메트로 출신' 임금 인상
<앵커 멘트>
퇴직자들을 챙기기 위해 하청 용역업체에 온갖 특혜를 강요해 온 것으로 드러난 서울 메트로가 전직자들의 임금인상을 위해 용역업체와의 계약까지 변경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박혜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구의역 사고가 있기 두 달 전인 지난 3월,
서울메트로가 스크린도어 정비를 맡은 은성 PSD와 체결한 용역변경계약서입니다.
메트로 퇴직자들의 임금 인상을 이유로, 계약 금액을 89억 6천여만 원에서 90억 4천여만 원으로 7천3백여만 원 증액합니다.
서울메트로의 임금이 인상되자 용역업체에 일하는 메트로 출신, 이른바 메피아 30여 명의 임금도 평균 2백여만 원씩 올린 겁니다.
<인터뷰> 서울메트로 관계자 : "초반에 (직원들을) 내보내면서 이 부분을 약속하고 내보낸 거거든요. 그래서 일정 정도 이 비율로 (임금을) 맞춰주겠다."
앞서 국가인권위원회는 지난 2013년, 경정비 용역업체 직원들이 낸 진정에 대해 메트로 출신과 용역업체 직원들의 임금 격차를 줄이라고 서울시와 메트로에 시정 권고한 바 있습니다.
<인터뷰> 이정훈(서울시 의원) : "일단 협약 자체가 처음부터 불공정했기 때문에 근본적으로 계약을 해지하지 않는 이상 이런 문제는 치유할 수가 없었고요."
지난해 말, 감사원은 보다 직접적으로 안전사고 가능성을 지적했습니다.
스크린도어 가동과 열차 운행을 연계한 종합관제시스템을 구축하고, 2인 1조 원칙을 철저히 감독하라고 주의까지 줬지만, 지켜지지 않았습니다.
사고 가능성을 알리는 사전 경고음이 잇따랐지만 이를 무시했고, 결국, 세 명의 똑같은 희생자가 나온 뒤에야 뒤늦게 대책 마련에 나선 셈입니다.
KBS 뉴스 박혜진입니다.
박혜진기자 (root@kbs.co.kr)
Copyright © K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 학습 포함) 금지
- 오피스텔만 110여 채..변호사 수임료 얼마길래
- 비정상의 일상화..반칙의 끝은 어디인가?
- [영상] 신호대기 중이던 오토바이 순식간에 전소
- [영상] 오리무중 절도범 잡은 결정적 단서는?
- 가방 속 실탄 청주공항은 '통과' 제주공항은 '적발'
- 헌재, 전원일치로 파면…“호소용 계엄? 계엄법이 정한 목적 아냐”
- 재판관 5명이 밝힌 보충의견…‘이것’ 두곤 의견 갈렸다
- 침통한 국민의힘…“내일은 내일의 태양이 뜰 것입니다”
- “진짜 대한민국이 시작된다” 이재명 대표 반응이
- ‘끄집어내라’ 곽종근 증언 인정…“나라에 봉사한 군인들이 시민과 대치하게 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