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 내국인 사찰도 했을 것" 52.9%

윤미숙기자 2015. 7. 21. 14:47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대테러·대북용 주장, 국민 10명 중 3명만 믿어"

<아이뉴스24>

[윤미숙기자] 국가정보원이 해킹 프로그램을 통해 민간인을 사찰했다는 의혹과 관련, 해당 해킹 프로그램을 대테러나 대북 공작활동 감시용으로 사용했다는 국정원의 해명에 국민 10명 중 3명만 공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론조사기관 리얼미터는 지난 20일 해킹 프로그램 용도 관련 대국민 긴급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52.9%가 '대테러·대북 업무 외 내국인 사찰도 했을 것'이라고 답했고 '대테러나 대북 공작 활동을 위해서만 해킹했을 것'이라는 응답은 26.9%에 그쳤다고 21일 밝혔다.

내국인 사찰에도 사용했을 것이라는 응답은 거의 모든 지역과 연령층에서 우세했다. 지지 정당과 정치성향별로는 내국인 사찰에도 사용했을 것이라는 응답과 대테러·대북 용도로만 사용했을 것이라는 응답이 극명하게 엇갈렸다.

지지 정당별로는 새누리당 지지층(내국인 사찰 22.6% vs 대테러·대북 용도 54.6%)에서는 대테러·대북 용도로만 사용했을 것이라는 응답이 내국인 사찰에도 사용했을 것이라는 응답 보다 두 배 높았다. 반면 새정치민주연합 지지층(74.8% vs 3.7%)에서는 절대 다수가 내국인 사찰에도 사용했을 것이라고 응답했다.

여야 어느 정당도 지지하지 않는 무당층(68.2% vs 15.2%)에서도 내국인 사찰에도 사용했을 것이라는 응답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정치성향별로는 보수층(29.3% vs 52.6%)에서는 대테러·대북 용도로만 사용했을 것이라는 응답이 절반을 넘은 반면 진보층(73.7% vs 6.1%)과 중도층(64.3% vs 18.8%)에서는 내국인 사찰에도 사용했을 것이라는 응답이 압도적이었다.

지역별로는 부산·경남·울산(62.9% vs 20.7%)에서 내국인 사찰에도 사용했을 것이라는 응답이 60%를 넘었고 경기·인천(55.6% vs 25.1%), 광주·전라(54.8% vs 16.6%), 서울(55.6% vs 30.6%), 대전·충청·세종(46.8% vs 33.2%) 순으로 '내국인 사찰' 응답이 많았다.

대구·경북(35.1% vs 36.4%)에서는 '내국인 사찰'과 '대테러·대북 용도' 응답이 오차범위 안에서 팽팽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60대 이상(21.5% vs 45.8%)을 제외한 전 연령층에서 내국인 사찰에도 사용했을 것이라는 응답이 우세했다. 30대(78.1% vs 9.7%)에서 '내국인 사찰' 응답이 가장 많았고, 20대 (67.5% vs 12.3%), 40대(55.3% vs 25.5%) 순이었다.

50대(45.8% vs 38.5%)에서는 오차범위 안에서 내국인 사찰에도 사용했을 것이라는 응답이 우세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번 조사는 지난 20일 전국 19세 이상 성인 500명을 대상으로 휴대전화(50%)와 유선전화(50%) 임의전화걸기(RDD) 자동응답 방식으로 진행했다. 응답률은 5.8%,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4.4%포인트다.

윤미숙기자 come2ms@inews24.com

IT는 아이뉴스24      연예ㆍ스포츠는 조이뉴스24
새로운 시각 즐거운 게임, 아이뉴스24 게임
메일로 보는 뉴스 클리핑, 아이뉴스24 뉴스레터

Copyright © 아이뉴스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