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 내국인 사찰도 했을 것" 52.9%
<아이뉴스24>
[윤미숙기자] 국가정보원이 해킹 프로그램을 통해 민간인을 사찰했다는 의혹과 관련, 해당 해킹 프로그램을 대테러나 대북 공작활동 감시용으로 사용했다는 국정원의 해명에 국민 10명 중 3명만 공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론조사기관 리얼미터는 지난 20일 해킹 프로그램 용도 관련 대국민 긴급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52.9%가 '대테러·대북 업무 외 내국인 사찰도 했을 것'이라고 답했고 '대테러나 대북 공작 활동을 위해서만 해킹했을 것'이라는 응답은 26.9%에 그쳤다고 21일 밝혔다.
내국인 사찰에도 사용했을 것이라는 응답은 거의 모든 지역과 연령층에서 우세했다. 지지 정당과 정치성향별로는 내국인 사찰에도 사용했을 것이라는 응답과 대테러·대북 용도로만 사용했을 것이라는 응답이 극명하게 엇갈렸다.
지지 정당별로는 새누리당 지지층(내국인 사찰 22.6% vs 대테러·대북 용도 54.6%)에서는 대테러·대북 용도로만 사용했을 것이라는 응답이 내국인 사찰에도 사용했을 것이라는 응답 보다 두 배 높았다. 반면 새정치민주연합 지지층(74.8% vs 3.7%)에서는 절대 다수가 내국인 사찰에도 사용했을 것이라고 응답했다.
여야 어느 정당도 지지하지 않는 무당층(68.2% vs 15.2%)에서도 내국인 사찰에도 사용했을 것이라는 응답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정치성향별로는 보수층(29.3% vs 52.6%)에서는 대테러·대북 용도로만 사용했을 것이라는 응답이 절반을 넘은 반면 진보층(73.7% vs 6.1%)과 중도층(64.3% vs 18.8%)에서는 내국인 사찰에도 사용했을 것이라는 응답이 압도적이었다.
지역별로는 부산·경남·울산(62.9% vs 20.7%)에서 내국인 사찰에도 사용했을 것이라는 응답이 60%를 넘었고 경기·인천(55.6% vs 25.1%), 광주·전라(54.8% vs 16.6%), 서울(55.6% vs 30.6%), 대전·충청·세종(46.8% vs 33.2%) 순으로 '내국인 사찰' 응답이 많았다.
대구·경북(35.1% vs 36.4%)에서는 '내국인 사찰'과 '대테러·대북 용도' 응답이 오차범위 안에서 팽팽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60대 이상(21.5% vs 45.8%)을 제외한 전 연령층에서 내국인 사찰에도 사용했을 것이라는 응답이 우세했다. 30대(78.1% vs 9.7%)에서 '내국인 사찰' 응답이 가장 많았고, 20대 (67.5% vs 12.3%), 40대(55.3% vs 25.5%) 순이었다.
50대(45.8% vs 38.5%)에서는 오차범위 안에서 내국인 사찰에도 사용했을 것이라는 응답이 우세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번 조사는 지난 20일 전국 19세 이상 성인 500명을 대상으로 휴대전화(50%)와 유선전화(50%) 임의전화걸기(RDD) 자동응답 방식으로 진행했다. 응답률은 5.8%,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4.4%포인트다.
윤미숙기자 come2ms@inews24.com
☞IT는 아이뉴스24 연예ㆍ스포츠는 조이뉴스24
☞새로운 시각 즐거운 게임, 아이뉴스24 게임
☞메일로 보는 뉴스 클리핑, 아이뉴스24 뉴스레터
Copyright © 아이뉴스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철우 "국정원 직원 자살, 감찰 때문 아니다"
- 이종걸 "국정원 성명, 한 마디로 해외토픽감"
- 초유의 국정원 해킹 의혹, 여야 공방전만 계속
- 쟁점된 국정원 해킹, 7월 국회도 개점 휴업 우려
- 여야 '국정원 현장방문' 논의했지만, 합의 난항
- "2400원 착복도 해고 사유"…함상훈 헌법재판관 후보자, 과거 판결 '재조명'
- "유기농 포도의 진가"⋯친환경 와인 '본테라' [현장]
- KT "AX 솔루션, 드라이버를 쓰는 목수에게 전동 드릴을 주는 격" [인터뷰]
- [부음]박유신(BS한양 건설부문장)씨 빙부상
- SKIET, 북미에 전기차 30만대 분량 분리막 원단 공급키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