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 王城인지 논란 큰데도 풍납토성 '세계유산' 추진
최근 공주·부여·익산의 백제 유적 8곳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자, 서울시가 송파구 풍납토성도 세계유산으로 확장 등재하는 방안 추진에 나섰다.
하지만 풍납토성이 초기 한성(漢城) 백제 시기(기원전 18년~기원후 475년)의 왕성(王城)인지에 대한 논란이 있어, 주민 이주와 발굴 등에 2조원 정도 드는 '풍납토성 세계유산 등재'를 추진할 필요가 있느냐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13일 오후 3시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한 세미나에서도 풍납토성이 왕성이 맞는지를 두고 전문가들의 찬·반 입장이 맞섰다. 박순발 충남대 교수 등 '백제왕성설(說)'을 지지하는 이들은 "백제 왕궁에서 사용했던 기와 등 유물이 풍납토성 내에서 다량 발굴됐다"며 "백제 왕성이 분명한 풍납토성에 대한 발굴 조사가 계속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희진 역사문화연구소장 등 반대 측은 "삼국시대 대부분 왕성 규모가 수백만평에 달하는데, 겨우 20만평에 불과한 풍납토성을 왕성이라 보는 것은 근거가 희박하다"며 "군사적 방어를 위해 지어진 성을 무리하게 왕성으로 과장해 발굴을 핑계로 풍납동 주민들 재산권만 침해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1963년 사적지로 지정된 높이 11m, 둘레 3.7㎞의 이 토성은 1990년대 말 아파트 공사 도중 토기 조각 등 백제 유물이 무더기로 발견되면서 백제 초기 왕성터라는 설이 제기돼 본격적 보존·발굴 사업이 추진됐다. 그러나 20년이 지난 지금까지 왕성이었다는 결정적 증거는 나오지 않은 채 해당 지역 개발 제한으로 주민 재산권만 침해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런 논란에도 서울시와 문화재청은 풍납토성을 백제 왕성으로 보고 발굴·복원 사업을 이어간다는 입장이다.
풍납토성 복원구역(총 4개 권역) 중 백제 유물 핵심 분포 지역으로 추정되는 2·3권역 주민들에게 모두 보상하려면 약 2조원이 필요하지만 예산 마련은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문화재청은 지난 1월 "2권역만 주민 이주 대상으로 지정하고 3권역에서는 개발을 허용해 보상비용을 8000억원까지 줄이겠다"고 밝혔다. 반면 서울시는 2·3권역 전체를 보존하겠다며 "부족한 예산은 지방채를 추가 발행해서라도 충당하겠다"는 입장이다.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한덕수 “미국이 지적한 비관세 장벽, 개선하면 우리 국민들에도 도움될 수 있어”
- 구글 지도 따라가다 끊어진 다리…추락한 차량의 극적인 착지 순간
- 트럼프, 시진핑 연락 기다리나...유화 발언 수차례
- 대법, 박차훈 前 새마을금고 회장 ‘억대 금품수수’ 파기환송
- 임근배 전 삼성생명 감독, 삼성 남녀 프로농구단 단장에
- ‘성인 방송’ 진행하던 7급 공무원 해임...불복 소송도 패소
- Hybe’s Bang Si-hyuk tops Q1 stock gains among Korean tycoons
- 한국노총 4개월만에 사회적 대화 복귀 “기존 논의 마무리, 새 정부 출범까지 새로운 논의 보류
- 이혼설에 입연 오바마 아내 “일정 불참은 내 선택”
- 제주 고도 제한 30년 만에 풀리나...팽창 대신 압축형 도시 개발로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