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외국인 관광객 메르스 감염 땐 3천달러" 논란.."메르스 모험 관광 모집하나?"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 사태로 어려움을 겪는 관광업계를 위해 정부가 발표한 외국인 관광객 지원방안에 논란이 일고 있다.
김종 문화체육관광부 제2차관은 지난 15일 세종로 정부서울청사 별관에서 브리핑을 열고 ‘메르스 대응 및 관광업계 지원 방안’을 발표했다.
문제가 된 것은 한국을 찾는 외국인의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해 정부가 내놓은 방안이다.
문화부가 내놓은 방안에는 외국인 관광객(취업비자 제외)이 한국 체류기간에 메르스 확진을 받을 경우 이를 보상하는 안심보험을 개발하기로 했다는 내용이 포함돼 있다. 오는 22일부터 내년 6월21일까지 1년 사이 한국에 들어온 관광객이 가입 대상이며 보험료는 정부가 낸다.
보상액은 여행경비와 치료비(실비), 3000달러(약 335만원)의 지원금(사망시 최대 1억원)을 받을 수 있다. 외국인 관광객이 귀국한 뒤 메르스 감염 사실이 확인된 경우에도 지원 대상에 포함된다.
김종 차관은 “외국 관광객에게 잘못된(한국 관광시 메르스 감염 위험이 높다는) 시그널이 퍼져 있다”며 “한국 정부가 보험을 들어줄 정도이니 안심해도 된다는 점을 전달하고 관광객의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한 대책”이라고 설명했다.
호텔 등 관광시설에서 관광객 메르스 의심환자가 발생하면 가장 가까운 진료소와 응급실로 안내하는 안내전화(1330·4개 국어)도 24시간 운영한다.
김종 차관은 이어 “메르스로 인한 업계 피해 등 관광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정부와 업계가 공동으로 관광수요 회복을 위해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문화부에 따르면 메르스 발생 이후 이달 13일까지 방한을 취소한 외국인 관광객은 모두 10만8000여명이다. 이 가운데 중화권 관광객이 75%를 차지한다.
|
지난 2일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중국인 관광객들이 마스크를 쓰고 광장을 지나고 있다. 김창길 기자 |
이 소식을 접한 누리꾼들은 메르스 확산이 이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정부가 내놓은 대책방안에 “뭐가 우선인지 정말 모르나…어이없다” “목숨 걸고 여행 오리?” 등 대부분 부정인 반응을 보였다.
한 트위터리언 ‘@syh**’은 “감염되면 3천 달러, 사망하면 1억원까지 보상. 더 이상 감염자가 나오지 않아 정부가 메르스 종식을 선언했는데도 외국 관광객이 오지 않는 상황이라면 이해하겠다. 그런데 지금 상황에서 이건 뭐지? 정부가 나서서 메르스 모험 관광 모집하나?”는 글을 남겼다. ‘@bor*****’는 “메르스 감염 관광객들에게 현금을 쥐어주겠다는 박근혜 정부의 대책을 보니 이 정부가 지독하게 멍청한 건지 멍청하게 지독한 건지 조금 헷갈리기 시작했다”고 했다.
또 다른 트위터 이용자 ‘@Sister****‘는 “박근혜 정부라는 이 정체를 알 수 없는 기관은 해외 관광객에게 1억 메르스 보험을 제공한다고 하기 전에 사망자, 유가족, 감염자에게 사과하고 보상 대책을 논의하는 게 정상 아니냐? 니들이 외면해서 사망하고, 감염된 사람들 아니냐. XX도 정도껏 해라”라고 말했다.
.
<이명희 기자 minsu@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속보]대법 전원합의체, ‘이재명 공직선거법’ 재판 24일 또 심리
- [박주연의 색다른 인터뷰]홍장원 “0.1%, 일그러진 권력···세상을 좌지우지하려는 오만함에 분
- 이재명이 ‘한덕수’를 말하지 않는 이유···측근 “그분에 관심없다”
- 손학규 “한덕수 ‘3년 과도 정부’로 개헌하면 저 포함 많이들 도울 것”
- ‘폰 포렌식’ 출석 임성근 “비밀번호 기억 안 나, 알려줄 수 없어 안타까울 뿐”
- 정권 바뀌면 다시 ‘불장’?···‘빚 내서 집 사기’ 서두르는 2030 무주택자들
- 홍준표 “한덕수는 고려 대상 안 돼, 빅텐트엔 이준석 가장 중요”
- [단독] 기재부, 계엄 당일 ‘사이버안보위협’에 예비비 1180억 배정···왜?
- 유흥식 추기경, 차기 교황 후보군에···이탈리아 최대 일간지가 꼽은 12인 포함
- 트럼프 “중국, 협상 안 하면 미국이 숫자 결정…파월 해고 생각 안 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