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지진 안전지대 아니다

박현동 입력 2015. 4. 26. 15:31 수정 2015. 4. 26. 15:3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대한한국도,지진 안전지대가 아니다.'

대한민국은 지진에서 안전한가? 이 물음에 대한 답은 '글쎄'다. 먼저 위험하다고 단정할 수 없지만 그렇다고 위험하지 않다고 단언하기도 어렵다. 아직 강진이라고 할만한 지진은 없지만 발생빈도가 훨씬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26일 기상청에 따르면 올해 들어서만 이날까지 한반도에서 규모 2.0 이상의 지진이 총 13회 관측됐다.

연평균 발생 건수는 1978년 기상대 관측 이후 1980년대 16회에서 1990년대 26회, 2000년대 44회, 2010∼2014년 58회로 크게 느는 추세다.

규모 5 이상의 지진도 1978년 9월 충북 속리산 부근, 1978년 10월 충남 홍성군 홍성읍에서 발생한 후 한동안 없다가 2003년 3월 인천 백령도 서남서쪽 해역, 2004년 5월 경북 울진 해역, 2014년 4월 충남 태안 해역 등에서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

한반도가 이렇듯 지진 안전지대로 볼 수 없는데도 내진 설계 등 지진 대비책은 미흡하다는 지적이 그동안 제기돼 왔다.

지난해 국정감사에서 국토교통부가 내놓은 자료를 보면 내진 설계 적용 대상 공동주택은 전국적으로 모두 30만 7천597동이지만 실제 내진 기능이 있는 건물은 18만5334동(60%)에 불과했다.

서울은 9만5866동이 내진 설계 대상인데, 이 중 3만 5520동만 내진 성능을 확보, 내진율이 37.05%로 최하위 수준이었다.

전국에서 내진율이 가장 낮은 지역은 제주로 34%였고, 경기와 충남도 각각 47%, 51%에 불과했다.

그나마 최근 건설된 계획도시 세종시 공동주택의 내진율이 100%로 가장 높았다. 이어 경남 96%, 인천 92%, 경북 91%, 부산 88%, 대전 87%, 강원 87% 등 순이었다.

기상청 관계자는 "우리나라도 역사적으로 규모 5∼6으로 추정되는 지진이 관측된 기록이 있다. 결코 안전하다고만 볼 수 있지 않은 만큼 지진 안전 대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홍태경 연세대 지구시스템과학과 교수는 "한반도도 지진 안전지대라고 말할 수 없다. 조선왕조실록을 보면 규모 7에 육박하거나 넘어서는 지진의 기록이 많이 나온다. 시기가 문제일 뿐 미래에도 그런 지진이 발생한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윤성효 부산대 지구과학교육과 교수는 "발생빈도가 증가하면 그보다 큰 지진이 언제든 발생할 수 있다. 규모 5 이상의 지진이 자주 발생하면 인명피해에 대비한 준비를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박세환 기자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뉴스 미란다 원칙] 취재원과 독자에게는 국민일보에 자유로이 접근할 권리와 반론·정정·추후 보도를 청구할 권리가 있습니다. 고충처리인(gochung@kmib.co.kr)/전화:02-781-9711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