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부채 1600% 적자企業을 1600억원에 인수
포스코 그룹의 인수·합병(M&A) 비리를 수사하고 있는 검찰이 주목하고 있는 계열사 중 하나는 성진지오텍(현 포스코플랜텍)이다. 정준양 전 회장이 포스코 회장으로 재임하던 2010년 3월 1592억원을 주고 매입한 성진지오텍은 인수 당시에도 '부실기업을 너무 비싸게 샀다'는 지적이 있었으며 이후에도 포스코는 이 기업을 살리기 위해 '밑 빠진 독에 물 붓기' 식으로 5000억원에 가까운 현금을 지원했다. 이 과정에서 검찰은 포스코 내부에서도 성진지오텍 지원에 반발했던 점과 포스코에 지분을 넘긴 성진지오텍 전 경영진이 지난 정권 실세들과 가깝게 지냈다는 의혹 등을 주시하고 있다. 성진지오텍 인수와 운영 과정을 전부 조사하겠다는 것이다.
포스코그룹은 조선·해양 플랜트 부품 제조업체인 성진지오텍을 5년 전 인수한 이후 지금까지 네 차례에 걸쳐 4900억원을 지원한 것으로 나타났다.
작년 12월 12일 열린 포스코 이사회에선 이례적인 일이 벌어졌다. 당시 안건은 과거 세 차례 2000억원의 지원에도 자금이 쪼들렸던 성진지오텍에 2900억원을 지원하는 유상증자에 포스코와 포스코건설이 참여하는 것이었다. 당시 이사회에 참여한 일부 사외이사가 "도대체 얼마를 지원해야 하느냐"면서 강하게 반발했다고 한다. 그날 이사회에선 이 안건 결정이 보류됐으며 열흘 뒤 속개된 이사회에서 결국 자금 지원으로 결정이 났다. 상정된 안건이 보류된 것은 매우 이례적인 일이라고 한다.
이보다 앞서 작년 3월 열린 이사회에서도 성진지오텍에 대한 700억원대 유상증자 안건이 상정됐는데 이때에도 일부 사외이사가 난색을 보였던 것으로 전해졌다. 포스코 관계자는 "포스코는 물론 함께 유상증자에 참여한 포스코건설 내에서도 왜 헛돈을 쓰느냐는 지적이 많았다"면서 "성진지오텍이든 합병으로 커진 포스코플랜텍이든 골치 아픈 회사를 빨리 매각하는 게 오히려 손해를 줄이는 길이라는 의견이 적지 않았다"고 했다.
이처럼 그룹의 전폭적 지원에도 성진지오텍의 실적은 악화일로를 걸었다. 포스코에 인수되기 직전인 2009년 매출액 3801억원과 영업손실 262억원을 기록했던 성진지오텍은 2013년 영업손실 630억원을 기록했으며, 지난해에는 3분기까지만 605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하는 등 연간 최대 적자를 기록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포스코는 재작년 7월 우량 계열사이던 포스코플랜텍과 성진지오텍을 합병해 새로운 회사로 탈바꿈하려 했지만 경영 상황은 전혀 호전되지 않았다고 한다.
인수 당시 적자 상태에 부채비율 1613%에 달했던 기업을 1600억원에 사들인 것을 두고도 국회에서 비판이 나왔다. 2012년 10월 국회 국정감사에서 새누리당 이현재 의원은 만성 적자에 시달리는 성진지오텍 지분을 매입하는 과정에서 시가 8200원짜리 주식을 주당 1만6000원에 사들인 이유가 무엇인지 집중 추궁했다.
당시 포스코 이사회 의장은 안철수 현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이었다. 이 의원은 국감에 출석한 포스코 임원에게 "안철수 의장이 당시 성진지오텍 인수 안건에 반대했느냐, 찬성했느냐"를 여러 번 물었으나, 이 임원은 답변하지 않았다.
검찰은 포스코 측이 부실기업을 비싸게 사들이고 또 그 기업 유지를 위해 내부 반발에도 막대한 현금을 투입한 이유가 무엇인지를 밝히는 데 수사력을 모으고 있다. 포스코 관계자는 "권오준 회장이 들어선 이후 부실 계열사를 정리하고 있지만 성진지오텍에 대해서는 어찌 된 일인지 지원을 늘리고 있다"면서 "포스코 내부에서도 그 배경을 궁금해하는 사람이 많다"고 했다.
검찰은 포스코 측이 지금 성진지오텍을 매각할 경우 손실액이 특정되고 그에 따른 책임 추궁이 뻔해 기업을 계속 살려두려 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 검찰 관계자는 "제기된 의혹은 모두 살펴보겠다"고 말했다.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포스코건설 秘資金 중 수십억원 어디 썼나 확인 안돼
- 포스코건설, 비자금 107억 적발하고도 수사의뢰 안해
- 롯데리아 새우버거 수입산 패티서 항생제 검출…전량 폐기 결정
- “경북 산불 피해 주민 힘내세요”… 대구·경북 기업과 기관 기부 이어져
- South Korea overtakes France to become top cosmetics exporter to US
- 구조물 추락 사고 애도 기간… 1일 프로야구 전 경기 취소, 2일 재개
- 발달장애 딸 돌보는 지적장애 父…세수조차 이들에겐 고통이었다
- 카카오게임즈, 플랫폼 확대로 ‘글로벌 종합 게임사’ 도약 나서
- 전자칠판 납품 돕고 리베이트로 2억2000만원 챙긴 인천시의원…검찰 송치
- “트럼프 관세로 북미 車 생산량 최대 20% 감소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