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 평균보다 실업률 낮은데 고용률도 낮다? 비밀은 고학력 '백수'

김태훈 기자 2014. 4. 5. 16:37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청년층 고용률 지난해 처음으로 40%선 아래로 떨어져…

·OECD국가 중 세 번째로 많은 '니트족' 실업률엔 안 잡혀 통계에 허점

이시은씨(가명·29)는 가방끈이 길다. 서울시내 유명 사립대학을 졸업하고 졸업한 과 대학원에서 석사과정까지 밟았다. 그런데 지금은 이른바 '백수'다. 해외 대학으로 가려고 마음먹었던 유학이 실패한 뒤, 다니던 대학원 박사과정에 진학은 했지만 도중에 하차했다. 동생이 연 카페에서 간간이 일을 봐주지만 그에 따른 보수를 따로 받는 것은 아니다. 더 이상 학교도 다니지 않고, 직업훈련도 받지 않지만, 실업자는 아닌 이씨의 통계상 위치는 어디일까.

한국의 실업률은 세계에서도 최저 수준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펴낸 '한눈에 보는 사회 2014'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실업률은 회원국 가운데 가장 낮았다. 2013년 2분기 기준으로 한국의 실업률은 3.3%로 OECD 회원국 평균 9.1%를 크게 밑돌았다. 그러나 고용률로 따지면 사정은 달라진다. 한국의 고용률은 64.2%로 OECD 평균인 65%보다 0.8% 낮았다. 언뜻 보면 앞뒤가 맞지 않는 듯 보인다. 실업률은 최저 수준이지만 정작 고용률은 OECD 평균에도 미치지 못하는 현실. 그 이면에는 청년실업 문제, 특히 고학력 미취업자 문제가 있었다.

한국의 15세에서 29세까지의 청년층 고용률은 지난해 최초로 40%선 아래로까지 떨어진 39.7%를 기록했다. 청년 실업률은 올해 2월 10.9%까지 치솟으며 최초로 10%선을 돌파했다. 전년 동월의 9.1%에 비해 1.8%포인트 오른 수치다. 한국개발연구원의 김용성 선임연구위원이 올해 1월 발표한 '청년취업 활성화를 위한 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 청년층의 고용률은 국제적으로 비교했을 때도 크게 낮았다. 김 위원은 "고용률 70% 이상 OECD 국가 중 청년층 고용률이 우리나라와 같이 40%대를 보이는 국가는 없다"며 "이마저도 2002년 45.1%에서 2012년 40.4%로 큰 폭의 감소세를 보였다"고 지적했다.

청년취업박람회장에서 청년 구직자들이 구인 공고문을 살펴보고 있다. / 연합뉴스

15~29세 고용률 40% 이하 나라 드물어

이처럼 '고용률 70% 달성'을 목표로 하는 정부 시책을 가로막는 주범은 누구일까. 통계를 자세히 살펴보면 고용률은 낮추지만 실업률에는 포함되지 않는 특정 인구집단을 찾을 수 있다. 바로 니트(NEET)족이다. 교육도 직업훈련도 받지 않는(neither in education nor in training) 미취업자를 가리키는 니트족의 대표적인 사례가 앞서 나온 이씨 같은 경우다. 특히 한국의 니트족은 이씨처럼 대학 이상의 교육을 받은 이들이 대부분이란 점이 특징이다. 한국의 고학력 니트족 비율은 24%로 OECD 회원국 가운데 세 번째였다. 첫 번째와 두 번째가 지속적인 경제위기 및 침체로 몸살을 앓고 있는 그리스와 터키라는 점을 감안하면 한국의 현실은 더욱 두드러진다.

여기서 고려해야 할 사실은 니트족이 '실업자'로 분류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실업률은 전체 경제활동인구 중 실업자의 비율을 가리킨다. '적극적으로 구직활동을 한' 경제활동인구가 아니면 실업자에 들어가지 않기 때문에 니트족이 늘어도 실업률에는 영향이 없거나 오히려 낮아지는 결과가 나타날 수 있다. 2011년 기준 한국의 청년층 가운데 약 18%가 니트족으로, 6%대인 실업자 비율의 3배에 가까웠다. 니트족과 실업자를 더하면 차지하는 비율이 약 24%까지 치솟는다. 즉 공식 통계에서 보이는 청년 실업자의 3배 이상이 일자리 찾기도 단념한 상태로, 청년 4명 중 한 명 꼴로 이른바 '백수' 생활을 하고 있는 셈이다.

이씨는 통계상으로 니트족에 들어갈지 몰라도 처음부터 구직을 포기한 것은 아니라고 항변했다. 하지만 높은 학력과 그 학력을 쌓는 동안 먹어간 나이가 오히려 이씨의 발목을 잡았다. 이씨는 기업에 여러 차례 입사지원서를 넣었지만 면접이라도 보러 오라는 경우는 가뭄에 콩 나듯 했다. 하다못해 패스트푸드점의 오토바이 배달원 모집에도 지원해 봤지만 '나이가 많아서' 떨어졌다. "학력이 높으니 그만큼 돈을 더 받아야겠다는 생각도 없다. 드물게 전공과 관련이 있는 일자리에 공고가 나더라도 관련된 전문성이나 실력을 보고 뽑는 게 아니니 어떻게 해볼 도리가 없다." 결국 처지가 뒤바뀌어 동생 집에 얹혀 사는 신세가 된 이씨가 생활비 대신 동생네 카페 일을 봐주는 지경이다.

이씨의 경우처럼 한국의 청년층은 교육에 투자한 금액은 많지만 막상 일자리를 구할 때가 되면 교육에 들인 비용을 회수하기는 어려웠다. 한국의 청년들이 학업을 마친 뒤 저임금 근로(임금이 성년근로자 중간 임금의 3분의 2에 못미치는 근로)를 경험하는 기간과 횟수는 OECD 국가 중 가장 높았다. 학교 졸업 뒤 5년 사이에 저임금 근로를 경험하는 평균 기간은 한국이 26.1개월로 영국 9개월, 호주 12.1개월에 비해 2~3배가량 길었다. LG경제연구원의 이서원 책임연구원은 "저임금이 졸업 후 일할 의사를 떨어뜨려 청년 무직자가 되도록 유도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며 "다른 나라는 이 비중이 졸업 후 시간이 갈수록 감소하지만 우리나라는 더 높아져 청년실업의 위험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장년층의 '직접적 일자리' 정책 탓 커

숨어 있는 니트족이 실질적인 고용률을 저하시키는 문제의 원인은 결국 정부의 일자리 정책 때문이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정부 재정이 들어가는 일자리 확충사업 중 대부분이 장년층 이상을 대상으로 하는 '직접적 일자리 제공'에 집중돼 있기 때문이다. 공공근로 등을 포함하는 직접적 일자리 사업의 예산은 전체 일자리 예산의 67.3%나 차지할 정도로 비중이 높았다. OECD 평균인 12.5%의 5배 이상이다. 그 결과 2012년 직접적 일자리 창출사업을 통한 취업자 증감을 보면 청년층에선 0.52% 취업자가 줄어든 반면, 장년층에선 9.9% 늘어나는 상반된 결과가 나타났다. 김용성 위원은 "노동시장 대책의 측면에서 정책적 배려가 필요한 청년층이 아니라 장년층에게 대부분의 혜택이 돌아가는 사업의 재정지출 비중이 지나치게 높기 때문에 재원 배분을 재검토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김태훈 기자 anarq@kyunghyang.com >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