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가족이다] 다문화가정 정부 지원 1가구당 84만원꼴.. 거기에 남편과 아이는 없다

이지은 기자 2013. 1. 9. 03:17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민 여성만을 위한 정책보다 전 가족 대상 프로그램 필요

정부·지자체에서 지난해 다문화가정(총 22만가구 추정)에 지원한 예산은 가구당 84만원꼴이었다. 가구당 66만6000원의 지원을 받은 '한부모가정'과 비교할 때 적은 액수는 아니다. 하지만 결혼 이주여성 정단아(38)씨는 "이주여성에 대한 지원은 많지만, 남편이나 아이들에 대한 프로그램이나 정책은 적어 아쉬운 점이 많다"고 말한다. 정씨는 "아이들이 점점 커가면서 '왜 엄마는 한국말을 잘 못하느냐' 등의 말을 한다"며 "아이들 또한 다문화가정에 대해 이해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같은 것이 있었으면 좋겠다"고 말한다.

전문가들도 결혼이민 여성만을 위한 정책보다 가족 전반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이 동반됐을 때 다문화가정이 더 튼튼하게 정착할 수 있다고 조언한다. 결혼 이주 여성만을 위한 제도나 프로그램뿐 아니라, 이주여성 주변의 시부모나 남편, 자식을 위한 정책도 중요하다는 것이다. 지금까지의 다문화 정책은 주로 결혼 이민자들의 의사소통 지원, 직업 교육 등 이주여성의 정착 지원과 관련한 내용이 중심이 됐다.

전북 김제 다문화지원센터 김은강 센터장은 "다문화가정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결혼이민자 당사자의 문제만이 아닌 그 가족을 포괄한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직업이 없는 남편을 위한 취업 역량 강화 프로그램, 고부 갈등 같은 가정 문제가 있을 때 시어머니나 남편, 또는 가족 전체가 참가하는 상담 프로그램 등으로 확대해가야 한다"고 말했다.

장경섭 서울대 사회학과 교수는 "농촌의 경우 지역별 다문화가족센터에서 가정방문을 늘리는 등 이제는 각 가족의 개별적인 문제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다문화가정 아동의 성장에 맞춘 정책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한국다문화가족 지원연대 정동주 사무처장은 "다문화가정 아동들이 곧 청소년·성인기에 접어드는데 이들에게 입시 및 취업 정보 제공, 스트레스 상담 등 구체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며 "가족의 토대가 흔들리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여러 방향에서 정책을 펼쳐야 한다"고 말했다.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