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한국은 정도 많고 교육 수준 높아 아이 키우기 안전"
불법체류자들은 언제 발각돼 쫓겨날지 몰라 가슴 졸이며 산다. 국민건강보험에 들 수 없어 아이가 큰 병치레라도 하면 몇 달치 벌이를 쏟아부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한국에 계속 머무르기를 원한다. 이유가 뭘까.
한국에 온 첫 목적은 돈을 벌기 위해서다. 고국보다 임금 수준이 훨씬 높은 한국에서 돈을 벌어 귀국하는 게 꿈이다. 하지만 그게 전부는 아니다. 다섯 살 무국적 소녀 굴자리나의 엄마(43·키르기스스탄)는 말한다. “어찌어찌해서 유치원에 보냈어요. 교육 내용이 고국과 엄청나게 차이 나요. 굴자리나의 지식 수준이 고국의 또래들보다 훨씬 높아요. 어떻게든 아이가 여기서 자유롭게 공부할 수 있으면 좋겠어요. 그런데 2년 뒤 초등학교에 들어갈 수 있을지….”
교육 시스템이 잘 갖춰진 나라는 한국 말고도 많다. 불법체류자들은 한국에 또 다른 무엇이 있다고 한다. 우선 서구 국가들은 아시아인을 낮춰 보는 느낌이 강하다고들 했다.
일본에 대해서는 상쾌하지 못한 기억을 가진 이들이 있다. 레퐁(3)의 엄마(34·베트남)는 말했다. “한국에 오기 전 일본에 있었어요. 합법 신분이었죠. 애초엔 공장 사장이 한 달에 150만원을 주겠다고 했는데 실제로는 60만~70만원밖에 안 줬어요.”
한국에 대한 그의 평은 이랬다. “불법체류자에게 더 힘든 일을 시켜요. 우리를 평등하게 대하지는 않지만 일본처럼 약속을 안 지키지는 않아요. 마약·도둑도 적고…. 웬만한 나라보다 아이들이 안전해 여기서 키우고 싶습니다.”
또 다른 한국의 매력도 있다. 오고 가는 ‘정(情)’이다. 아이를 본 동네 어른들이 예쁘다며 머리를 쓰다듬어 주면서 자식이나 손주가 입던 옷을 가져다주는 건 자기들 나라에서 볼 수 없는 일이라고들 했다. 국민건강보험에 들지 않았다는 이유로 병원에서 입원보증금을 요구해 발을 동동 구르고 있을 때면 사회·종교단체에서 도움의 손길을 내밀어줬다. 레퐁의 아빠는 “아이가 자라서 도움을 받은 한국에 도움을 드릴 수 있었으면 한다”고 말했다.
◆특별취재팀=최종권(팀장)·임명수·조혜경·김호·유명한 기자, 이성은 코리아중앙데일리 기자
사진=신인섭·오종택 기자, 프리랜서 오종찬·김성태, VJ=김세희·김상호·이정석, 영상편집=정혁준·김현서, 디지털 디자인=임해든·김민희 choigo@joongang.co.kr
▶[단독]문재인 못다한 인터뷰 "흔드는 건 128명중 1명"
▶'불륜 사이트' 회원 폭로돼 자책하던 목사 자살, 유서보니
▶"중국·노르웨이 인질 팝니다"…IS, 충격 잡지광고
▶"삼촌 친구 있어요? 나는 …" 유령이 된 아이 2만명
▶팔을 창에 걸치고 운전, 까치발로 물건 내리는 행동은…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