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주의 일상 톡톡] "먹는 사람의 자존심 존중..1000원만 받았어"

김현주 2015. 3. 19. 13:24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세상에서 가장 따뜻하고 배부른, 1000원 밥상

광주 동구 대인시장에서 어렵고 힘든 사람들이 즐겨찾는 '천원 백반집'을 운영해오던 김선자 할머니가 암투병 끝에 지난 18일 73세의 나이로 별세, 누리꾼들의 심금을 울리고 있다.

김 할머니가 전통시장 대인시장에 백반집 문을 연 것은 지난 2010년부터다. 애초 죽 집을 차리려 했다가 차라리 봉사하기로 마음먹고, 천원 백반 식당 '해 뜨는 식당'을 운영하기 시작했다.

김 할머니는 생전 "몇 차례 사업 실패 후 보험회사 일을 하다 은퇴하고 벌인 찜질방 사업마저 투자한 돈을 사기 당했다"며 "빈털터리일 때 오히려 가난한 사람을 도와야겠다고 생각, 재래시장 한쪽에 천원 백반집을 어렵사리 열었다"고 손해만 보는 식당을 열게 된 사연을 이야기한 적이 있다.

천원 백반집에는 날이 갈수록 손님이 늘어 하루 100여명이 훌쩍 넘는 사람들로 북적거렸다. 매달 쌀을 기증하는 사람들이 생겼고 연탄을 수백장씩 가져다 주거나 김치를 담가주는 등 도움이 끊이질 않았다. 밥값으로 1만원짜리를 몇 장 건네며 "이것밖에 못 드려 죄송하다"는 손님도 더러 있었다.

그러나 천원 식당은 김 할머니가 지난 2012년경 대장암으로 쓰러지면서 문을 닫기도 했다. 김 할머니의 암투병 소식에 주변 기업과 시장상인들, 시민들이 돕기에 나서 천원식당은 1년만에 이들에 의해 다시 따뜻한 나눔의 밥상이 차려지기 시작했다.

암이 악화돼 1년 시한부 판정을 받은 김 할머니는 그동안 먼발치에 자신의 일군 천원식당의 기적을 지켜보다 이날 영면했다.

김 할머니는 "천원 식당을 계속 이어가 달라"면서 "주변 사람들이 적극 나서 식당운영을 계속했으면 좋겠다"라는 유언을 남긴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윤장현 광주시장은 김 할머니의 별세 소식을 듣고 "천원 밥상이야말로 세상에서 가장 따뜻하고 배부른 밥상"이라며" 비통한 마음을 금할 길이 없다"고 애도했다.

이어 "할머니의 삶은 곧 '광주정신'의 다른 이름이다"며 "남은 저희들이 그 뜻을 이어받겠다"고 다짐했다. 그는 또 "단 한 사람도 낙오됨이 없이 더불어 살아가는 광주 공동체 건설에 매진하겠다"고 말했다.

김현주 기자 hjk@segye.com사진=방송 화면 캡처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