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토] 낙동강은 녹조라떼 세상..정부는 대책있습니까?
[한겨레]
계속된 폭염으로 낙동강 일대가 푸른 잔디밭처럼 푸른 빛을 띄며 녹조현상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이에 따라 부산지방국토관리청이 낙동강·창녕·함안보등 5개 보를 열고 강물을 방류하기로 결정했다. 16일부터 칠곡보와 강정고령보, 달성보를 비롯한 하류 5개 보와 합천댐 수문을 열어 4천5백만 톤의 강물을 내려보낼 예정이다.
부산상수도본부는 16일 부산지역 상수원인 물금취수장의 남조류 개체수는 지난달 평균 ㎖당 974개였지만, 이달 들어서는 평균 1만283개로 나타나고 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달에 비해 10배나 증가한 것이다. 지난해 8월 평균 남조류 개체수가 6388개 였던 것과 견줘도 올해 수질은 더욱 나빠졌다. 조류경보제(세포/㎖)는 남조류 개체수가 1000이상이며 관심, 1만 이상이면 경계, 100만 이상이면 대발생 경보를 각각 발령한다.
더불어민주당의 기동민 원내대변인은 16일 현안브리핑을 통해 전국의 강과 호수들이 녹조현상으로 몸살을 앓고 있는 것에 대해 “여름철 수온 상승이 주요인으로 꼽힌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MB정부의 4대강 사업 이후 느려진 유속으로 녹조 현상이 더욱 빈발한다는 학계의 주장이 나오고 있다”며 “식수원을 위협하는 녹조현상과 관련, MB정부 때 행해진 4대강 사업과의 연관성을 규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글 이정용 선임기자 lee312@hani.co.kr
사진 김봉규 선임기자 bong9@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DJ·노무현 연설비서관이 본 박근혜의 광복절 연설문
■ 김재형 대법관 후보자 “이정현 세월호 보도 통제는 위법”
■ 박 대통령은 국민을 훈시듣는 학생으로 아는가’
■ [화보] 지금 리우에선…
■ [화보] 사진으로 보는 1910년대의 한반도
▶ 발랄한 전복을 꿈꾸는 정치 놀이터 [정치BAR]
▶ 콕콕 짚어주는 [한겨레 카드뉴스][사진으로 뉴스 따라잡기]
▶ 지금 여기 [사드 배치 논란][한겨레 그림판][당신에게 꼭 맞는 휴가지는?]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