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원 "노동자 대신 근로자로 써야" 잘못답변해 곤혹

2014. 5. 1. 14:46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연합뉴스) 임기창 기자 = 노동절(5월1일)을 앞두고 국립국어원이 '노동자' 대신 '근로자'를 쓰는 것이 맞다는 잘못된 설명을 했다가 인터넷상에서 항의가 잇따르자 뒤늦게 '둘 다 맞다'며 바로잡는 일이 벌어졌다.

논란은 지난달 30일 국립국어원이 자체 트위터 계정(@urimal365)을 통해 "5월1일(목)은 근로자의 날로, 트위터를 통한 국어생활종합상담 업무를 하지 않으니 이용에 차질 없으시기를 바란다"는 공지를 하면서 시작됐다.

이에 한 누리꾼이 "노동자의 날로 바꿔 달라"는 글을 올리자 국어원 측은 "'노동절'은 1963년 '근로자의 날'로 이름이 바뀌었다. 또한 '노동자'는 '근로자'로 다듬어 쓰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답했다.

그러자 누리꾼들은 "표준국어대사전에는 다듬어 쓰라는 권유가 없다" "그럼 고용노동부도 고용근로부로 다듬어 쓰라" 등 문제제기를 쏟아냈다.

국립국어원 홈페이지에서 표준국어대사전을 검색하면 '근로'는 '부지런히 일함', '노동'은 '사람이 생활에 필요한 물자를 얻기 위하여 육체적 노력이나 정신적 노력을 들이는 행위'로 정의돼 있다. '노동'을 '근로'로 순화하라는 지침은 없다.

일부에서는 '부지런히 일함'이라는 뜻의 '근로'가 '국가나 기업을 위해 부지런히 일한다'는 뜻을 담고 있어 중립적 용어가 아니며, 이 때문에 '근로'를 '노동'으로 고쳐 쓰는 것이 옳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논란이 커지자 국어원은 1일 보도자료를 내 "'노동자'와 '근로자'는 모두 사용할 수 있는 말"이라고 해명했다.

국어원은 "트위터 담당자가 '근로자'를 '노동자'의 순화어로 착각해 잘못 답변한 것"이라며 "즉시 해당 계정에서 정정하고 혼란을 끼쳐 드린 점에 대해 사과했다"고 밝혔다.

pulse@yna.co.kr

"이르면 4일부터 세월호 객실 문 강제개방할 것"
'24시간 운영' 해경 당직함 출동준비만 22분
전화 걸면 ARS가 받는 해양긴급전화 '122'
'지향이 사건' 친모 항소 기각…뇌출혈 딸 방치·사망
노동절 서울분향소 시민 조문 이어져…"미안하다"

▶이슈에 투표하고 토론하기 '궁금한배틀Y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