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문제해결력 OECD 1위..끈기·개방성은 평균 이하
【세종=뉴시스】류난영 기자 = 우리나라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의 문제해결력이 세계 최고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문제해결에 대한 끈기와 개방성 지수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에도 미치지 못했다.
OECD는 1일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PISA) 2012 컴퓨터 기반 문제해결력 평가 국제 비교 결과'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우리나라 학생들의 컴퓨터 기반 문제해결력 점수는 561점으로 참가국 가운데 싱가포르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OECD 국가 가운데서는 가장 높았다.
'문제해결력'이란 분명한 해결 방법을 즉각적으로 찾을 수 없는 문제 상황을 이해하고 해결하기 위한 인지적 과정과 관련된 능력으로 문제 상황에 참여하려는 의지가 포함된다.
우리나라에 이어 일본(552점), 마카오-중국(540점), 홍콩(540점), 상하이(536점), 대만(534점), 캐나다(526점), 호주(523점), 핀란드(523점) 등이 전체 10위 안에 들었다.
문제해결력이 5수준 이상(최고 6수준)인 '상위 수준' 학생 비율도 27.6%로 OECD 국가 중 가장 높았다. 참가국 중에는 싱가포르에 이어 두번째로 높았다. 반면 2수준 미만인 '하위 수준' 학생 비율은 전체 참여국 중 가장 낮았다.
상위수준 학생 가운데 읽기, 수학, 과학의 세 영역 중에서도 한 개 이상의 영역이 상위수준인 경우(20.9%)가 문제해결력만 상위수준인 경우(6.7%) 보다 더 많았다.
문제해결력 점수의 학교내, 학교 간 차이는 OECD 평균보다 작았다. 우리나라 학생들의 문제해결력 차이가 다른 국가에 비해 작게 나타났다. 사회·경제적 배경의 영향력도 OECD 평균보다 낮았다.
송미영 한국교육과정평가원 PIAS 팀장은 "우리나라는 문제해결력 점수가 OECD 평균보다 높으면서 학교내, 학교간 점수 차이와 사회·경제적 배경에 따른 영향력은 OECD 국가보다 낮게 나타났다"며 다른 국가와 비교할 때 우리나라 학교 간 교육의 질이 상대적으로 고르고 학생들에게 학습기회가 형평성 있게 제공되고 있음을 뜻한다"고 말했다.
성별로는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문제해결 점수가 13점 더 높았다. 상위수준 비율도 남학생이 7.1%포인트 더 많았다.
송 팀장은 "문제해결력은 보통 수학 점수와 문제해결에 대한 끈기 지수, 문제해결에 대한 개방성 지수가 상당 부분 영향을 미치는데 여학생이 이 부분이 남학생에 비해 점수가 더 낮았다"며 "이는 OECD 국가의 평균적인 경향"이라고 설명했다.
컴퓨터 사용 여부에 따라서는 학교에서의 컴퓨터 사용 여부에 따른 문제해결력 점수는 차이가 없었지만 집에서 컴퓨터를 사용하는 학생의 문제해결력 점수가 그렇지 않은 학생보다 33점 차이가 났다.문제점도 드러났다. 문제해결에 대한 끈기·개방성 지수는 OECD 평균보다 낮았다. 우리나라의 문제해결에 대한 끈기 지수는 -0.09점, 문제해결에 대한 개방성 지수는 -0.37점이었다.
끈기·개방성 지수는 OECD 평균을 0점으로 봤을때 이보다 낮으면 끈기지수가 떨어지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 점수는 -3점부터 3점 사이에 위치한다.
송 팀장은 "우리나라의 문제해결력 점수가 지금도 좋지만 문제해결에 대한 끈기 지수와 개방성 지수를 좀 더 높이면 더 좋은 점수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뜻한다"며 "끈기·개방성 지수가 더 높아지면 문제해결력 점수가 5점 이상 상승할 수 있다는 여지가 있다"고 설명했다.그는 "이를 다르게 해석하면 우리나라가 외우는 것만 잘하는 줄 알았는데 문제해결도 잘하는 것으로 결과가 나왔다"며 "전체 결과로 놓고 보면 이번 조사가 일부에서 주장하듯이 지식위주 기억력을 요구하는 우리나라와 일본 등 동남아 국가들의 교육법이 서구보다 열등하다는 주장이 사실과 다르다는 것을 알수 있다"고 지적했다.
PISA는 만 15세 학생들의 수학과 읽기, 과학 등의 소양 평가와 미래 함께 미래 사회에 필요한 역량 중 하나인 문제해결력을 평가하는 시험이다. 이번 조사는 2003년에 이어 두번째 실시됐다. PISA 2012에 참여한 65개국 중 44개국이 컴퓨터기반 문제해결력 평가에 참여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PISA 2012에 표집된 5201명 중 1403명을 대상으로실시했다.
you@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솔비 "가짜 음란 동영상에 2억 도난 피해…삶 끝내려 등산"
- 강병규, 정치 성향 공개 "尹 파면되자마자 울었다"
- 박수홍, 아내 김다예 건강 적신호에 고압산소케어
- 신정환, 女연예인 성접대 폭로 "남자 3명 동시에 만났다"
- 김부선 "이재명, '퐁당 빠질 만큼' 매력적…홍준표, 명태균 해명이나"
- 백종원, 갑질 의혹 터졌다…MBC 출신 PD "출연자 하차시켜"
- "입만 터는 문과 X들이 다 해 먹는 나라"…이국종, 국방부에 사과
- "10년 키웠는데 내 아들 아니라더라"…유흥업소 드나든 주말부부 아내
- 봉천동 방화범, 피해 주민과 과거 층간소음으로 '쌍방 폭행'
- 장근석, 조울증 이겨내니 갑상선암 "죽나 싶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