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 잘하는 학생이 성격도 좋아"

박충훈 2013. 8. 1. 15:32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박충훈 기자] 학력이 높을 수록 외향성과 친화성이 좋고 성실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1일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은 외향성, 친화성, 성실성, 개방성, 정서불안정성 등 5개 요인으로 구분한 '청년층의 빅(BIG) 5 성격 특성' 보고서를 발표했다. 개발원은 총 3717명을 대상으로 5가지 성격 특성이 학력, 출신고교, 동아리·자원봉사 활동 여부에 따라 어떤 차이를 보이는 지 비교했다.

고졸, 전문대졸, 대졸 등 학력별 성격특성을 비교한 결과 학력이 높을 수록 외향성과 친화성, 성실성, 개방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적인 안정감 역시 학력과 비례했다.

특성화고, 일반고, 외국어고, 과학고로 구분한 출신고교별 비교에서는 외국어고 졸업생이 외향성(10.78점), 친화성(11.37점), 개방성(10.73점)면에서 다른 고교출신에 비해 점수가 높았다. 과학고는 정서불안정성(7.35점)이 가장 낮았다.

반면 특성화고는 외향성(10.10점), 친화성(10.52점), 개방성(9.33점)이 다른 고교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하지만 정서불안정성은 8.32점으로 타 고교출신보다 높았다.

더불어 동아리 및 동호회, 자원봉사,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사용 여부에 따라 성격 특성에 차이가 났다. 현재 동아리(동호회) 활동이나 자원봉사 활동을 하는 집단이 활동하지 않는 집단에 비해 외향성, 친화성, 개방성이 높게 나타났다.

SNS를 사용하는 청년층은 그렇지 않은 이들보다 외향성, 친화성, 성실성, 개방성이 모두 높았고 정서적 불안정성은 낮았다.

직업능력개발원 측은 "성격과 교육성과의 밀접한 상관관계가 확인됐다"며 "이 보고서는 성격이 긍정적일수록 교육성과가 좋거나, 교육이 성격을 보다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모바일] 더욱 빠르고 편리하게 만나는 실시간 모바일 뉴스[루머&진실] 증권시장에서 떠도는 루머를 파헤쳐드립니다

박충훈 기자 parkjovi@<ⓒ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임신 '원더걸스 선예' 한국 왔다더니 두달 만에 돌연"'송중기-클라라' 어쩐지 친해보인다 싶더니 둘이서 '이럴수가''장윤정 가족사' 어쩐지 이상하다 했더니 '충격 반전'"이병헌의 여자 '이민정' 결혼 얼마 앞두고 이럴 줄은…""뇌종양 걸린 '이의정' 수술 받더니 충격적 상태가…"'박명수' 돈 벌어서 뭐하나 했더니…'엄청난 반전'전두환 며느리 '박상아' 기소한 검사 돌연…'또다른 반전'"85억 강남빌딩 주인 '최지우' 빚 얼마 있나 봤더니만"'이민정' 돈 많은 이병헌과 결혼한다더니만 끝내 이런 일이…'노현정' 재벌가 며느리 되고 잘 사나했는데 충격적 사건이…'신성우-박은지' 서로 친해보이더니만 이런 일이…'충격''한혜진-나얼' 장례식장 모습 왠지 이상하다 했더니만 결국…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