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균열' 영광원전 핵심 부품 '교체 대신 용접' 추진 논란
균열이 발생한 영광원전 3호기 핵심 부품을 교체하지 않고 용접하는 방안이 추진되고 있어 안전성 논란이 일고 있다.
영광지역 주민들은 용접 방식은 '땜질 처방'이라며 원전 안전을 담보할 수 있는 부품 교체를 강력하게 요구하고 나섰다.
한국수력원자력은 영광 3호기 제어봉 안내관의 균열 정비를 위해 덧씌움보강용접을 하기로 결정하고 지난해 11월 말 원자력안전위원회(원안위)에 승인을 요청한 것으로 7일 알려졌다. 덧씌움보강용접은 균열 부위의 표면을 매끈하게 갈고 기계를 이용해 덧씌우기 용접을 하는 수리법이다.
원안위는 이 방식이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지 검토해 승인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제어봉 안내관은 원자로의 핵분열을 강제로 멈추게 하는 마지막 안전장치로 안내관 균열로 인해 원자로에 제어봉을 넣지 못하면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핵심 부품이다.
한수원이 부품 교체가 아닌 용접 방식을 택한 것은 시간과 비용 때문이다.
안내봉을 교체하려면 원자로 헤드 전체를 바꿔야 하며, 이 경우 최소 2~3년의 시간과 500억원이 넘는 비용이 발생한다. 용접 방식으로 하면 40여일 만에 수리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영광원전 민관합동대책위의 한 관계자는 "미국 원전에서도 같은 부품으로 만든 원전에서 동일한 사례가 보고되는 등 제작 결함에 따른 균열일 수 있다"면서 "겨울철 전력 수요가 많더라도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고 새 부품으로 교체한 뒤 가동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수원 관계자는 "(균열 부위) 주변을 갈아내고 정밀특수용접을 실시하면 처음과 같은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고, 헤드 전체를 교체하는 것보다 시간과 비용이 크게 절약된다"고 말했다.
영광원전 3호기는 지난해 11월 말 계획예방정비 기간 중에 제어봉 안내관 균열이 발견돼 정밀점검을 하고 있다. 국내 가동 원전에서 제어봉 안내관 균열사고가 나기는 영광 3호기가 처음이다.
<최병태 선임기자 cbtae@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영남 산불 사망 30명·부상 43명, 피해 면적 482㎢…의성 재발화 진화 중
- [속보]산불 용의자 손놓고 있던 의성군, 논란 일자 뒤늦게 “경찰에 이첩”
- 최상목, ‘환율 오르면 이익’ 미 국채 투자 논란…민주당 “언제 샀는지 밝혀라”
- 헌재 “피청구인 윤석열 파면” 선언할 때다 [김민아의 훅hook]
- [속보]‘탄핵 예고’에 권성동 “이재명·김어준 등 내란음모죄로 고발하겠다”
- 프랑스 기업에까지 “DEI 안돼”…트럼프 으름장에 반발 확산
- 기계도 들것도 없다…미얀마 강진 구조현장, 맨손으로 잔해 파내며 사투
- 미얀마 강진 사망자 1000명 넘었다…외교부 “30억원 인도적 지원 결정”
- 민주당, 검찰 문재인 소환에 “아직 정신 못 차려…윤석열 정권 최후 발악”
- 이재용·곽노정, 시진핑 만났다…글로벌 기업 CEO 40여명과 함께 회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