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모로 팔려간 8살짜리 46년만에..

2012. 11. 19. 21:1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겨레] 경찰에 도움 청한뒤 엄마·언니 상봉

서울 부잣집서 일하며 학교도 못가

돈도 못받은채 막노동 남편과 결혼

식당일등 악착같이 일해 자녀 키워

고향에 대한 기억은 산골짜기 밭을 일구던 부모님의 모습뿐이었다. 지독한 가난은 다섯 살짜리 여자아이를 남의 집 식모살이로 떠밀었다. 1966년, 당시 8살이던 김순금(54)씨는 둘째 언니와 함께 한 탄광촌으로 일하러 갔다. 며칠 뒤, 자매에게 일거리를 주겠다던 아주머니가 밤에 김씨를 깨워 "언니가 서울에 갔으니 너도 가자"고 속여 서울 동대문구 신당동의 한 부잣집으로 팔아넘겼다. 집주인은 한국은행에 다니는 '국장님'이었다.

서울 생활은 노예살이와 다를 바 없었다. 설거지를 하다 손이 부르텄고, 겨울밤에는 연탄불을 가느라 잠을 설쳤다. 김장배추 100포기를 잠도 못 자고 절였지만, 다음날 아침에 다 못 절였다고 뺨을 맞은 설움은 지금도 잊지 못한다. 주인 아주머니는 "집 밖에 나가면 술집에 팔려간다"고 겁을 줬다. 학교에도 보내지 않았다. 서른이 되어서야 주인 아주머니는 김씨를 한 공장 노동자와 결혼시켜 출가시켰다. 김씨는 "결혼해서 집을 나갈 때도 돈 한 푼, 쌀 한 가마니 안 준 게 그렇게 서럽더라고요"라며 눈물을 쏟았다.

배우지 못한 김씨는 '인신매매'나 '강제노역'이 뭔지 몰랐다. 결혼하고 나서도 10년여 동안 명절마다 주인집에 인사를 갔다. 다만 아이들은 자신처럼 살게 하지 않으려고 악착같이 일했다. 남편은 공사판에서 철근을 맸고, 김씨는 집에서 인형을 만들고 컴퓨터 키보드 자판을 끼웠다. 아이들이 큰 뒤부터 평일엔 학교 앞 분식집에서, 주말엔 예식장 식당에서 일했다. 크고 작은 수술을 6번이나 받을 정도로 몸이 망가진 끝에야 서울 구로구 구로동에 작은 집을 마련했다. 아들은 대학을 다니고 있고, 딸은 병원 직원으로 일하고 있다.

46년 전 잃어버린 가족을 찾을 수 있다는 희망은 포기하고 있었다. 그런데 지난달 23일, 자신도 잃어버린 가족이 있으니 같이 경찰에 도움을 청해보자는 지인에 이끌려 서울 구로경찰서를 찾아갔다. 어렸을 때는 고향 지명을 알고 있었겠지만, 주인 아주머니가 "네 고향은 강원도 삼척"이라고 세뇌시키는 바람에 잊었다. 실종사건전담수사팀 서제공(56) 경위와 4차례 면담을 하고서야 '반야골'이라는 이름이 겨우 떠올랐다. 경북 봉화군 석포면에 실제로 '반야마을'이 있었다. 지난달 30일 서 경위와 함께 반야마을을 찾아가 수소문한 끝에 극적으로 큰언니와 연락이 닿았다.

지난 3일, 김씨는 남편·자녀들과 함께 경북 영주시에 사는 어머니와 두 언니, 동생을 만났다. 백발 할머니가 된 어머니 남아무개(88)씨는 "내가 오래 사니까 너를 만나는구나"라며 김씨의 얼굴을 수없이 쓰다듬었다. 둘째언니(56)는 "너를 잃어버린 일 때문에 어머니한테 맞아서 사흘 동안 일어나질 못했다"고 말했다. 46년 만에 만난 다섯 모녀는 울고 웃으며 지난 이야기로 밤을 지새웠다. 지난 16일, 김씨는 새로 찾은 가족과 친족 관계가 맞다는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의 유전자 검사 결과를 서 경위로부터 전해들었다. 글·사진 김지훈 기자 watchdog@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박근혜 '유신 출산' 풍자그림 '시끌'김성주 '안철수 양심있으면…5년 뒤에 나와라'조국 만난 이효리 "회사에서 인터뷰하러 간다고 울상""불순하다" 폄하하더니…박근혜도 '펀드' 모금꽃미남? 짐승남? 세상 어디에도 없는 남자, 송중기'숭어 킬러' 물수리, 양발로 두 마리를 한 번에…[화보] 삼성가 장손 '뒷문 참배' 못해?…추모식 불참

공식 SNS [통하니][트위터][미투데이]| 구독신청 [한겨레신문][한겨레21]

Copyrights ⓒ 한겨레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겨레는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Copyright © 한겨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