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정부 최저임금 상승률 역대 '꼴찌'
역대 정부와 비교해서 이명박 정부의 최저임금상승률이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물가상승을 감안한 실질최저임금상승률은 더욱 낮았다.
3일 고용노동부 등에 따르면 최저임금제도가 처음 도입된 1988년 이래 이명박 정부(2008~2011년)의 연평균 최저임금인상률은 5.0%로, 노무현 정부(10.6%)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최저임금 결정과정이 현재와 달랐던 노태우 정부를 제외하고 최저임금인상률은 김영삼 정부에서 8.1%, 김대중 정부 9.0%로 계속 높아졌으나 이명박 정부가 들어선 이후 현격히 낮아졌다.
이명박 정부 때는 물가상승률도 상대적으로 높아, 저임금 노동자들은 실질적인 최저임금인상 효과를 거의 누리지 못했다. 이 시기 물가상승률(3.6%)을 감안한 실질최저임금인상률은 1.4%로 노무현 정부(7.7%)의 5분의 1 수준이다. 김대중 정부와 노무현 정부의 경우 실질최저임금인상률이 경제성장률을 각각 0.5%포인트, 3.4%포인트 상회한 반면 이명박 정부는 실질최저임금인상률이 경제성장률보다 1.7%포인트 가량 낮았다.
한국경영자총협회 관계자는 "과거 정부 때 너무 급격하게 최저임금을 인상하는 바람에 중소 영세기업이 최저임금을 올릴 수 없는 상황이 된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반면 민주노총 관계자는 "우리나라의 최저임금 수준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최하위권"이라며 "생활임금에 가까운 수준으로 최저임금을 올려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전체노동자 중 최저임금도 받지 못하는 노동자의 비율인 최저임금미만율은 2000년대 초 4% 수준을 유지하다가 2009년 12.8%로 가장 높이 올라간 후 10% 안팎에 머물고 있다.
이왕구기자 fab4@hk.co.kr
ㆍ 황석영 새 장편소설 전격 연재 [바로 보기] |
ㆍ 162㎝ 여고생 맨손으로 잡은 강도 아내에… 깜짝 |
ㆍ 2012 미스코리아의 충격적인 몸무게 |
ㆍ '명품 라인' 그녀 다리에 시퍼런 멍이… 왜 |
ㆍ [포토] 2012년 대한민국 최고 미녀들 |
[ⓒ 인터넷한국일보(www.hankooki.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