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비정규직 1054명, 5월부터 정규직으로
[이데일리 강경지 기자] 서울시 공공부문 비정규직 1054명이 5월 1일부터 정규직(무기계약직)으로 전환된다. 시 산하 비정규직 종사자 2916명 중 상시·지속업무에 종사하는 비정규직이다.
서울시가 22일 발표한 '서울시 공공부문 비정규직 정규직 전환계획'은 ▲상시·지속적 업무 종사자 정규직 전환 ▲호봉제 도입 ▲전환제외자 처우개선 ▲관리제도 개선 등이 주요 골자다.
이 계획안에 따르면 향후 2년 이상 지속되는 업무에 종사하면 정규직 전환대상에 포함되도록 했다. 정규직 전환 연령 기준을 공무원 정년인 59세까지 확대했다.
'호봉제'를 도입, 고용안정과 고용의 질을 개선했다. 현재 시 본청과 사업소에서 근무 중인 무기계약직과 신규 전환 무기계약직 전원에 호봉제(1~33호봉)를 도입, 장기근속자는 우대하고 신규 전환자는 임금인상의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했다.현재 기간제근로자의 평균 임금은 연 1500만원 수준이다. 호봉제가 도입되면 무기계약직 연봉은 연1860만원(1호봉 초임)으로 인상된다. 이 외에도 복지포인트(연136만원)와 연가보상비, 퇴직금, 시간외 수당, 건강진단금 등이 별도로 지급된다.
정규직 전환 제외 근로자들에 대한 복지와 처우도 개선했다. 본청·사업소는 올해부터 수당으로 1인당 연246만원(월 20만원 균등지급)을 지급한다. 복지포인트 136만원과 명절휴가비 110만원 등이다.
임금체계가 다른 투자·출연기관 중 서울시설공단·서울의료원·서울복지재단은 기관 내 기존 무기계약직과 동일한 수준으로 처우한다. 무기계약직이 없는 여성가족재단·서울시립교향악단·디자인재단·자원봉사센터는 전환된 무기계약직에게 복지포인트와 명절휴가비로 평균 1인당 연132만원(월 11만원)을 지급한다.
호칭 등 인력관리 제도도 개선, 시 소속 직원으로 자긍심을 갖고 일할 수 있는 환경도 만든다.
시는 오는 8월까지 연구용역을 실시, 하반기 2단계 종합대책을 발표할 계획이다. 업무 특성과 종류 등을 고려, 무기계약직 직제를 개편하고 업무 난이도와 강도가 다른 직무는 임금체계를 차별화해 합리적인 근로조건을 조성한다.
시는 비정규직 정규직 전환 추진을 위해 총 62억 3100만원의 예산을 추가로 투입할 계획이다. ▲전환에 따른 추가 소요임금(29억 5200만원) ▲처우개선수당(14억 1600만원) ▲시간외 수당·건강진단금·퇴직금(14억2400만원) ▲연가보상금(4억 3900만원)이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은 노동의 상식을 회복하는 일"이라며 "서울시가 먼저 시작하고, 민간부문이 함께할 수 있도록 선도적인 역할을 하겠다"고 밝혔다.
강경지 (bright@edaily.co.kr)
▶ 당신의 생활 속 언제 어디서나 이데일리 ' 신문 PDF바로보기'▶ 스마트 경제종합방송 이데일리 TV▶ 실시간 뉴스와 증권거래, 내 손안의 금융시장 ' 이데일리 모바일 서비스'▶ 전문가를 위한 국내 최상의 금융정보단말기 ' 이데일리 마켓포인트 2.0'▶ 국내 최고 증권 전문가 방송 이데일리 ON, 고객상담센터 1666-2200<ⓒ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