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회 1960년대 이후 처음으로 '남초'에서 '여초'로 전환
우리나라 남녀 인구비율이 1960년대 이후 처음으로 ‘남초’에서 ‘여초’로 전환했다.
행정자치부가 6일 발표한 주민등록 인구통계를 보면 6월 말 기준으로 여성 인구는 총 2571만5796명으로, 남성(2571만5304명)보다 492명 많아 처음으로 ‘여초’ 구도가 됐다. 7월 말에는 여성은 2572만5414명으로 늘어 남성보다 2645명 많아졌고 이 격차는 8월 4804명까지 벌어졌다.
여성 수가 남자 수보다 많아진 것은 주민등록 인구통계를 작성한 1960년대 후반 이래 처음이다.
통계청 추계인구 기준으로도 1960년 이후 2014년 말까지 남녀 성비(여자 100명당 남자 수)는 한 번도 100명 아래로 떨어진 적이 없어 ‘남초’를 유지하고 있었다. 1944년 일제의 징집·징용 등 강제동원이 급증했을 때 이뤄졌던 인구총조사에서 성비가 99.38로 떨어진 것을 제외하곤 남자가 여자보다 더 많았다.
지난 50여년간 ‘남초’ 구도는 유지됐지만 인구수 격차는 계속 줄어들었다. 주민등록 인구통계 기준으로 1995년 남성이 여성보다 22만4705명이 더 많았지만 1998년 이 격차는 20만명 아래로 떨어졌고, 2011년에는 7만9584명까지 좁혀졌다.
2014년 말 여자 인구가 남자를 1만676명 차이로 줄어든데 이어 올 6월 여자 인구가 남자를 앞지른 것이다.
이 같은 남녀 비율 역전은 남아선호사상이 옅어지면서 출생성비 불균형이 완화됐고 인구 고령화가 진행된 결과로 보인다.
보통 여성의 평균수명이 남성보다 길기 때문에 노인 인구 비중이 높은 사회는 여자가 더 많은 ‘여초’ 구조를 갖게 된다. 또 1990년대 출생성비(여아 100명당 남아 수)가 최고 116.5대 1까지 치솟았으나, 이후 점차 낮아져 최근에는 105.3대 1 수준이다. 아들 선호 분위기가 남아있던 1990년까지는 출생성비 불균형이 있어 지금의 청·장년층은 남성 인구가 더 많지만 고령화로 노인의 비중이 급증하면서 여성의 숫자가 남성를 추월하게 된 것이다.
<김보미 기자 bomi83@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속보]윤석열 “몇 시간 사건이 내란? 법리에 안 맞아”···논리 되풀이
- 장하준 “한국, 트럼프 비위 맞추기 그만둬야…미국에 매달리면 봉변당할 것”
- 경찰, 장제원 사건 수사결과 발표 안 한다…“고소인엔 규정 따라 통지”
- 공수처 인사위원, 한덕수 직무유기 고소···“검사 임명 안 해 존립 흔들어”
- 교육격차 해소한다던 ‘서울런’…“축! 서울대 19명” 황당 현수막
- [단독]가세연의 ‘쯔양 협박’에 ‘불송치’ 결정한 경찰···검찰은 보완수사 요구
- 박나래 자택 절도 용의자 체포, 경찰 “모르고 범행한 듯”···소속사 “외부인”
- [단독]영화 ‘기생충’의 그곳, 14㎡가 만들어낸 재개발의 ‘기적’
- ‘팔레스타인 승인 추진’ 마크롱에 “엿 먹어”…네타냐후 아들, 또 막말
- [단독]‘명태균식 업체’ 퇴출될까…선관위, 여론조사기관 등급제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