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고속버스기사가 길을 몰라..'공포의 7시간30분'
고속버스를 타고 서울을 떠난 승객 42명이 7시간30분 만에야 목적지인 광주광역시에 도착하는 황당한 일이 벌어졌다.
광주까지 운행 경험이 전혀 없는 기사가 부랴부랴 투입돼 길을 잘못 드는 등 미숙한 운행을 하면서 평소보다 2배 이상 많은 시간이 걸렸다. 이로 인해 승객들은 ‘공포의 7시간30분’ 동안 불안에 떨어야 했다.
3일 금호고속에 따르면 지난달 23일 오전 9시쯤 서울고속버스터미널에서 승객 42명을 태우고 출발한 광주행 고속버스가 같은 날 오후 4시30분에야 광주버스터미널에 도착했다. 이 구간(290㎞)은 평소 3시간30분에서 4시간가량 걸린다.
문제는 출발 전부터 시작됐다. 버스는 당초 오전 8시50분 출발 예정이었지만 배정된 기사가 석가탄신일 연휴에 따른 교통 혼잡으로 터미널에 오지 못하면서 출발이 10분가량 지연됐다. 회사 측은 예정에 없던 여성 기사를 대신 투입했다.
광주 운행 경험이 없는 이 기사는 내비게이션에 의지해 고속버스 운행을 시작했다. 하지만 중간에 고속도로를 벗어나 경기 수원 쪽으로 진입하는가 하면, 원래 계획과 달리 서해안고속도로를 달리기도 했다. 통상 서울발 광주행 고속버스는 경부고속도로를 지나 천안~논산고속도로를 거쳐 호남고속도로를 이용한다.
고속버스는 평소보다 2배가량 많은 시간이 걸려 광주에 도착했다. 버스가 도착할 때까지 승객들의 항의가 빗발치고 일부 승객들은 미숙한 운행에 겁을 먹었다. 결혼식이나 모임 등 저마다 계획을 세워둔 승객들은 일정을 취소하는 등 피해를 입었다.
하지만 금호고속 측은 광주에 도착한 뒤에도 버스 지연 출발과 도착 경위를 제대로 설명하지 않았다. 제대로 된 사과나 금전적인 보상도 없었다. 일부 승객들이 항의하자 뒤늦게 "버스요금 1만7600원을 환불해 주겠다"며 접촉 중이다.
이에 대해 금호고속 관계자는 "(문제의 버스는) 명절이나 연휴 기간에 금호고속과 계약을 맺고 투입되는 관광버스 업체의 협정 차량으로, 해당 업체 측에서 돌발 상황에 광주 운행 경험이 없는 기사를 갑작스레 투입한 것 같다"며 "연휴였던 점을 고려하면 평소보다 2시간 정도 더 소요된 것"이라고 말했다.
광주광역시=김호 기자 kimho@joongang.co.kr
▶[단독]정몽준, FIFA 회장 출마의사 피력
▶[속보] 공군 오산기지 간부 메르스 양성 판정
▶[단독]고속버스기사가 길을 몰라…공포의 7시간
▶"성매매 한 번 갖고 뭘…" "실망이야, 그만 끝내"
▶미란다커, 해변서 원피스 뒤집혀…경악 노출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