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게 바로 '민족 정기' 끊으려던 일제의 '목돌'

2013. 8. 7. 20:2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겨레] 15년 전 백두대간서 발굴된 5개

남원문화원, 원위치 옮겨 전시

일제강점기에 '조선 민족의 정기를 끊겠다'며 일본이 백두대간에 설치했던 것으로 보이는 '목돌'(잠금돌)이 원래 설치한 곳 주변으로 옮겨졌다.

전북 남원문화원은 남원시 운봉읍 주촌리 한 가정집 정원석으로 쓰이던 목돌 5개를, 이곳에서 1.5㎞쯤 떨어진 주천면 덕치리 노치마을로 최근 옮겼다고 7일 밝혔다. 노치마을의 뒷산인 덕음산은 지리산 고리봉으로 연결되는 백두대간의 일부다.

이병채 남원문화원장은 "덕음산과 지리산 고리봉의 연결 부분만을 보면 신체의 목에 해당한다. 일제는 우리 국토와 민족의 목을 조여 숨을 못 쉬도록 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 잠금돌을 설치해 민족정기를 단절하는 악행을 저질렀다"고 말했다.

이 목돌은 15년 전 경지 정리 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발견됐으며, 애초 6개가 있었으나 5개만 가정집 정원석으로 옮겨졌다. 현장에 남겨뒀던 나머지 1개는 사라졌다고 한다.

목돌 하나의 크기는 가로 120㎝, 세로 95㎝, 두께 40㎝가량이다. 반원 형태여서 두 개를 서로 연결하면 원을 이뤄 지름이 100㎝에 이른다. 남원문화원 쪽은 목돌을 곧 원래 있었던 노치마을 앞 들녘으로 옮겨 역사의 교훈으로 삼을 방침이다. 목돌을 원위치로 옮기더라도 돌들의 배치방법을 바꿔 애초 일제가 의도했던 잠금돌 기능은 수행하지 못하도록 할 계획이다.

전주/박임근 기자 pik007@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전두환 셋째아들 '결혼 축의금'이 무려 160억!애들은 가라, 장안의 청춘남녀 바글바글…클럽같은 '19금' 물놀이부르카 여전사 "각오해! 지구촌 나쁜 남자들"[화보] 낙동강 버드나무들의 떼죽음…생명력 잃은 4대강홈플러스 매장의 두 여직원…비정규직은 누구일까요?

공식 SNS [통하니][트위터][미투데이]| 구독신청 [한겨레신문][한겨레21]

Copyrights ⓒ 한겨레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겨레는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